K-푸드의 글로벌 인기가 높아짐에 따라, 정부는 위조상품에 대한 대응을 한층 강화하기로 하였습니다. 농림축산식품부와 특허청은 30일 서울 양재동 aT센터에서 ‘2025년 상반기 K-푸드 위조상품 대응 협의체 회의’를 개최한다고 발표하였습니다. 이 회의는 K-푸드의 수출 기업들이 직면하고 있는 위조상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중요한 첫걸음으로, 다양한 민간 및 공공 기관이 협력하여 위조상품의 유통을 차단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자리입니다.
K-푸드의 수출 성장은 지속적으로 이어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해외에서 저가 및 저품질의 위조상품이 빈번하게 유통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은 우리 수출기업의 권리를 침해하고 K-푸드의 브랜드 가치를 저하시킬 우려가 크기 때문에, 정부는 적극적으로 대응하기로 하였습니다. 이번 회의에는 CJ제일제당, 대상, 삼양식품, 인삼공사, 빙그레 등 주요 수출기업과 식품산업협회가 참여하여, 위조상품 및 상표 무단선점에 대한 모니터링 결과를 공유하고, 수출기업을 위한 교육 및 상담 실적을 논의할 예정입니다.
회의에서는 하반기 위조상품 대응을 위한 중점 추진과제와 수출업계의 애로사항을 청취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지원 방안도 모색할 것입니다. 신상곤 특허청 산업재산보호협력국장은 K-브랜드의 위조상품이 급증하고 있는 상황에서, 우리 기업의 수출 애로와 브랜드 신뢰도 하락이 우려된다고 강조하였습니다. 그는 앞으로도 관계부처와의 협업을 통해 K-브랜드의 위조상품 피해를 예방하고 구제하는 노력을 강화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주원철 농식품부 식품산업정책관은 K-푸드 수출이 올해 대내외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전년 대비 7% 이상의 견조한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언급하며, 농식품 기업의 해외 진출에 어려움이 없도록 해외 위조상품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애로 상담 및 교육·자문, 지식재산권 출원 및 등록 등의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다짐하였습니다. 이러한 정부의 노력은 K-푸드 브랜드 보호와 수출 기업의 권익을 지키기 위한 필수적인 조치로, 앞으로도 지속적인 관심과 지원이 필요할 것입니다.
[참조기사]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3331435?sid=101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