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과학기술원(UNIST)이 120억 원 규모의 모태펀드를 운용하게 되었습니다. 이번 펀드는 유니스트기술지주가 최종 운용사로 선정되면서 시작되었으며, 박종래 총장은 이 기회를 통해 울산 지역의 기술적 가치를 사회와 경제에 실현하고, 공공기술사업화의 선순환 구조를 구축하겠다는 의지를 밝혔습니다. 펀드의 60억 원은 정부의 모태펀드에서 출자되었고, 나머지 60억 원은 이미 확정된 출자자들이 참여할 예정입니다. 유니스트기술지주가 단독으로 모태펀드를 운용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으로, 이는 대학의 기술사업화에 대한 책임을 강조하는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입니다.
펀드는 공공기술을 활용하여 창업하거나 사업화를 추진하는 중소 및 벤처기업에 집중적으로 투자할 계획입니다. 특히, ‘마켓 투 테크’라는 전략을 통해 지역 내 주요 기업과 협력하여 잠재적인 공공기술 자원을 발굴하고 이를 사업화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유니스트기술지주는 스타트업과 연구자 간의 협력을 통해 공공기술을 사업화하는 창업을 주도할 예정입니다.
이번 펀드 결성에는 울산시와 지역 기업가들의 적극적인 후원이 큰 역할을 했습니다. 울산시는 투자 재원 확보와 중앙정부 설득 등 다양한 지원을 아끼지 않았습니다. 박종래 총장은 “기술사업화와 창업지원은 대학의 중요한 책무”라며, 울산시와 지역 산업계의 협력이 이번 성과를 가능하게 했다고 강조했습니다. 이는 박 총장이 대학 기술 개발과 연계하여 지역 동반 성장을 추구하는 방향과 일치합니다.
또한, 유니스트기술지주는 기술지주 투자 역량을 높이기 위해 전문가를 영입하는 등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있으며, 최근 한태규 본부장이 새롭게 합류하였습니다. 한 본부장은 “이번 펀드를 통해 UNIST의 연구 자원과 전국의 스타트업을 연결시켜 지역 산업을 혁신할 공공기술사업화 모델을 창출하겠다”고 포부를 밝혔습니다. 그는 또한 차별화된 펀드 운용 전략을 마련하여 성공 사례를 만들어갈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유니스트기술지주는 UNIST가 100% 출자한 자회사로, 이번 펀드 결성을 통해 산업과 밀접하게 협력하며 공공기술 기반의 대규모 투자 생태계가 지역에서도 실현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참조기사]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3338344?sid=102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