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철성 서울대학교 석좌교수께서 2025년 대한민국 최고과학기술인상 수상자로 선정되었습니다. 이번 수상은 그동안 반도체 산업 발전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은 결과로, 특히 새로운 소자와 물질 발견에 대한 기여가 두드러졌습니다. 교수님은 메모리 반도체 분야에서의 혁신적인 연구를 통해 국가의 반도체 산업을 한 단계 끌어올리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셨습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는 황 교수님을 수상자로 선정하며, 이는 2003년부터 시작된 대한민국 최고과학기술인상 제도의 일환으로, 연구 성과와 경제 발전 기여도를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이루어졌습니다. 황 교수님은 2025년 수상자로 선정되기까지 3단계 심사를 거쳤으며, 이는 그가 이룬 연구 성과가 얼마나 뛰어난지를 보여줍니다.
황 교수님은 기존의 디램(DRAM)과 낸드플래시(NAND flash) 메모리 반도체 분야를 넘어서는 새로운 소자와 물질 발견에 기여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특히 저항 스위칭 재료 및 소자 분야에서의 선구적인 연구 업적은 국가 반도체 산업의 발전에 큰 기여를 했습니다. 교수님은 동료 교수들과 협력하여 ‘플래티넘/이산화티타늄/플래티넘 구조(Pt/TiO2/Pt) 시스템’ 내의 나노 필라멘트를 분석하여 저항 변화 메모리 소자의 전환 메커니즘을 최초로 규명하였습니다. 이 연구는 2010년 국제학술지 ‘네이처 나노테크놀로지’에 발표된 이후 2450회 이상 인용되며, 저항 변화 메모리 반도체 분야에서 상위 다섯 번째로 인용된 논문으로 자리매김하였습니다.
또한, 황 교수님은 SCI 논문 750편을 발표하고, 국내외 특허 227건을 보유하고 있으며, 16건의 기술 이전을 통해 학술 연구뿐만 아니라 산학 협력에도 기여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인간의 뇌처럼 작동하는 뉴로모픽 반도체 개발 연구에 집중하고 있으며, 이는 지속 가능한 반도체 기술 개발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서울대학교에서 학사, 석사, 박사 과정을 마친 황 교수님은 삼성전자 반도체연구소에서 선임연구원으로 근무한 후 1998년부터 모교에서 교수로 재직하고 계십니다. 현재까지 65명의 석사와 100명의 박사를 배출하며 차세대 반도체 분야 전문 인력 양성에 힘쓰고 있습니다.
과기정통부는 오는 9일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열리는 2025 세계 한인 과학기술인대회 개회식에서 황 교수님께 대통령 상장과 상금 3억원을 수여할 예정입니다. 황 교수님은 수상 소감에서 “이 상을 받을 만한 자격이 있는지 모르겠다. 아마 반도체 분야의 중요성과 후학 양성의 의무를 고려해 심사위원들께서 선정하지 않으셨을까 생각된다”며, 영광스러움과 함께 부담감을 느낀다고 말씀하셨습니다. 또한, 그는 AI 시스템의 전력 사용 개선 연구가 반도체 분야에서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하며, 뇌와 유사하게 작동하는 반도체 칩 개발에 도전하고 싶다는 포부를 밝혔습니다.
[참조기사]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3341124?sid=105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