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철성 서울대학교 석좌교수님이 2025년 대한민국최고과학기술인상 수상자로 선정되었습니다. 이는 그동안 반도체 산업의 발전에 기여한 그의 연구 성과와 인재 양성에 대한 공로를 인정받은 결과입니다. 황 교수님은 새로운 소자와 물질 발견에 기여하며, 특히 저항 스위칭 재료 및 소자 분야에서 선구적인 업적을 남겼습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는 황 교수님을 올해의 수상자로 발표하며, 그의 연구가 국가 반도체 산업에 미친 긍정적인 영향을 강조하였습니다.
대한민국최고과학기술인상은 2003년부터 시작된 국내 최고 권위의 과학기술인상으로, 연구 성과를 통해 국민에게 널리 알려지고, 과학기술인의 자긍심을 높이기 위해 제정되었습니다. 올해 수상자는 후보자들에 대한 3단계 심사를 통해 선정되었으며, 황 교수님은 연구개발 업적뿐만 아니라 경제 발전과 국민 생활 향상에 기여한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습니다.
황 교수님은 기존의 디램(DRAM)과 낸드플래시(NAND flash) 메모리 반도체 분야를 넘어 새로운 소자와 물질 발견에 기여하였습니다. 특히, 저항 변화 메모리 소자의 전환 메커니즘을 최초로 규명한 연구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나노테크놀로지(Nature Nanotechnology)’에 발표된 이후 2450회 이상 인용되며, 저항 변화 메모리 반도체 분야에서 중요한 논문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그 외에도 황 교수님은 SCI 논문 750편을 발표하고, 국내외 특허 227건을 보유하고 있으며, 기술 이전도 16건에 이릅니다. 이러한 성과는 학술 연구뿐만 아니라 산학 협력을 통해 반도체 산업 발전에 기여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최근에는 인간의 뇌처럼 작동하는 뉴로모픽 반도체 개발 연구에도 힘쓰고 있어, 앞으로의 지속 가능한 반도체 기술 개발에 큰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서울대학교에서 학·석·박사를 마친 황 교수님은 삼성전자 반도체연구소에서 선임연구원으로 근무한 후, 1998년부터 모교에서 교수로 재직해 오셨습니다. 현재까지 65명의 석사와 100명의 박사 인재를 배출하며 차세대 반도체 분야 전문 인력 양성에 힘쓰고 있습니다.
오는 9일,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개최되는 2025 세계 한인 과학기술인대회 개회식에서는 황 교수님께 대통령 상장과 상금 3억원이 수여될 예정입니다. 황 교수님은 수상 소감으로 “이 상을 받을 만한 자격이 있는지 모르겠다”며, 반도체 분야의 중요성과 후학 양성의 의무를 강조하셨습니다. 또한, AI 시스템의 과도한 전력 사용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의 중요성을 언급하며, 뇌와 유사하게 작동하는 반도체 칩 개발에 도전하고 싶다는 포부를 밝혔습니다.
[참조기사]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3341124?sid=105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