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벤처링으로 혁신의 길을 여는 시대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이 발표한 최근 보고서에 따르면, 현대 기업들이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해서는 스타트업과의 협력, 즉 ‘기업 벤처링’이 필수적이라는 주장이 제기되었습니다. 특히 디지털 전환(DX)에 적합한 스타트업과의 전략적 제휴를 통해 기존 기업들은 혁신의 동력을 확보하고,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을 것이라는 분석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1958년 미국 S&P500 상장기업의 평균 수명은 61년이었으나, 오는 2027년에는 12년으로 급격히 단축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더욱 가속화된 디지털 전환의 흐름 속에서 더욱 분명해지고 있습니다. 디지털 DNA를 가진 스타트업들이 빠르게 성장하는 반면, 기존 기업들은 이러한 변화에 적응하지 못하고 도태될 위험에 처해 있습니다. 따라서 기업들은 스타트업과의 협업을 통해 새로운 기회를 모색해야 할 시점에 이르렀습니다.

기업 벤처링의 방법론은 다양합니다. 우선 기업이 해결하고자 하는 특정 문제를 제시하고, 이에 대한 비즈니스 솔루션을 제안한 스타트업을 선정하는 경진대회를 개최하는 방식이 있습니다. 이러한 스타트업 행사에서 우승한 스타트업은 기업으로부터 다양한 혜택을 받게 됩니다. 또 다른 방법은 기업이 초기 스타트업의 제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함으로써 고객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벤처 고객’ 방식입니다. 이를 통해 스타트업은 자금을 확보하고, 기업은 새로운 아이디어와 혁신을 도입할 수 있습니다.

더 나아가 기업형 벤처 빌더, 인큐베이터, 액셀러레이터 등 전문 기관을 통해 스타트업을 직접 육성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이러한 조직들은 스타트업의 성장 가능성을 높이고, 기업의 신사업 개발에 적합한 스타트업과의 시너지를 창출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또한, 기업형 벤처캐피털(CVC)을 활용한 투자나 인수합병을 통해 스타트업의 지분이나 소유권을 취득하는 방법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특히, 최근 CVC를 통한 투자는 자체 연구개발(R&D) 비용을 절감하는 대안으로 떠오르며, 국내 대기업 집단의 CVC가 2023년 1~9월 동안에만 7765억원을 투자하는 등 급증하는 추세입니다. 이는 기업들이 스타트업과의 협력을 통해 새로운 가능성을 탐색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전 세계적으로도 CVC를 활용한 스타트업 투자액이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2023년 6월 기준으로 전년 대비 2배 이상 증가한 787억 달러에 달했습니다.

성공적인 기업 벤처링을 위해서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명확한 목표와 의제를 설정하고 스타트업의 관점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는 기업과 스타트업 간의 협력 관계를 더욱 강화하고, 서로에게 윈윈(win-win)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것입니다. 또한, 유망 스타트업을 발굴하고 육성하는 과정은 기업과 국가의 경쟁력 강화에 필수적이며, 글로벌 스타트업 강국으로의 도약이 시급하다는 점도 강조되고 있습니다.

무역협회의 김보경 수석연구원은 “기업의 목표와 상황에 따라 최적의 기업 벤처링 수단을 선택하되, 스타트업의 성장을 통해 시장을 확대하는 관점에서 지원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이는 단순히 기업의 생존을 넘어서, 전체 산업 생태계의 혁신을 이끌어내는 중요한 열쇠가 될 것입니다.

결론적으로, 기업 벤처링은 현대 기업들이 변화하는 시장 환경에서 지속 가능한 성장을 이루기 위한 필수 전략으로 자리 잡고 있으며, 이를 통해 기업과 스타트업 간의 협력이 더욱 활발해질 것으로 기대됩니다.

[관련기사]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6/0001919547?sid=101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