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1위 가상자산 거래소인 업비트의 운영사 두나무가 한국수목원정원관리원과 협력하여 2025 디지털 치유정원 공간 모델 제안 및 콘텐츠 개발 공모전을 개최한다고 24일 발표했다. 이 공모전은 ‘누구나 누릴 수 있는 숲과 정원’이라는 모토 아래 디지털 기술로 구현된 가상의 숲을 통해 심리적 치유를 제공하는 공간을 제안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디지털 치유정원은 LED 미디어 파사드를 통해 숲의 풍경을 시각적으로 구현하며, 소리, 향기, 온도와 같은 다양한 감각적 요소를 더해 실제 숲에 있는 듯한 몰입형 경험을 제공한다. 이 프로젝트는 인간과 자연 간의 지속 가능한 회복 순환을 창출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이번 공모전은 디지털 치유정원의 치유 효과를 한 단계 확장하기 위해 기획되었으며, IT, 조경, 의학 등 다양한 분야의 전공자와 전문가, 스타트업은 물론 자연에서의 치유와 회복에 관심 있는 모든 이가 개인 또는 팀 단위로 참여할 수 있다. 공모의 주제는 두 가지로 나뉘며, 첫 번째는 ‘공간·모델 제안’으로, 이는 기술과 정원을 결합한 새로운 디지털 치유정원 공간을 제안하는 것이다. 두 번째는 ‘콘텐츠·프로그램 개발’로, 여기서는 기술 기반의 치유 및 체험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공간·모델 제안’ 분야에서는 몰입형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독창적이고 혁신적인 치유정원 공간 인프라를 구현하거나 다양한 기술과 장비를 접목한 설계 아이디어를 요구한다. 반면 ‘콘텐츠·프로그램 개발’ 분야에서는 ICT 기술과 자연 정원 치유 요소를 결합한 프로그램, 인터랙티브 체험 콘텐츠, 현장 운영형 프로그램 등이 포함된다. 이와 같은 다양한 접근 방식은 디지털 치유정원의 가능성을 극대화하고, 다양한 사람들에게 힐링의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공모전은 1차 서류 심사, 멘토링, 2차 프레젠테이션 심사, 시상 순으로 진행된다. 서류 심사를 통과한 참가자들은 기술, 조경, 산림, 심리 분야의 전문가들로부터 멘토링을 받으며 아이디어를 발전시킬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된다. 최종 수상작은 프레젠테이션 심사를 통해 선정되며, 총상금은 2000만원 규모로, 수상작에는 산림청장상, 서울시장상, 두나무 대표이사상, 한국수목원정원관리원장상이 수여될 예정이다. 수상작은 실제 디지털 치유정원 운영에 반영되어 시민과 기관을 대상으로 하는 치유 프로그램의 고도화에 활용될 예정이다.
두나무의 오경석 대표는 “디지털 치유정원은 현대인의 일상과 자연 사이의 간극을 해소하는 차세대 힐링 공간으로 주목받고 있다”며 “이번 공모전을 통해 다양한 아이디어를 발굴하여 더 많은 이들에게 자연의 생기와 활력을 전달하겠다”고 전했다. 한편 두나무의 디지털 치유정원은 10월 20일까지 열리는 ‘2025 서울국제정원박람회’에서 만나볼 수 있다. 이 정원은 ‘고요한 숲’, ‘따뜻한 숲’, ‘숨 쉬는 숲’이라는 세 가지 테마로 구성되어 있으며, 블록체인 구조를 활용한 정원 디자인을 통해 관람객이 자연스럽게 심리적 및 정서적 치유를 경험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관련기사]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5/0005189279?sid=101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