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에셋그룹이 31일, 계열사 임원 승진 인사를 단행하며 ‘미래에셋 3.0’ 시대를 본격적으로 열고자 한다는 소식을 전했다. 이번 인사에서는 총 114명의 임원이 승진하여 인공지능(AI), 디지털 전환, 글로벌 사업 등 핵심 분야의 경쟁력을 한층 높이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미래에셋그룹은 자산관리(WM)와 연금 비즈니스를 중심으로 고객 맞춤형 금융 솔루션을 제공하기 위해 조직 내 협업 체계를 강화하고, 보다 고도화된 자산관리 서비스를 구현할 계획이다.
이번 인사의 핵심은 고객의 생애주기에 걸쳐 종합적인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겠다는 의지로 나타났다. 미래에셋그룹은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임원 승진 인사에서 여성 리더와 1980년대에 태어난 젊은 인재들을 적극적으로 발탁하였다. 이는 세대 간 소통을 증진하고, 유연한 조직문화를 기반으로 글로벌 금융 환경의 변화에 민첩하게 대응하겠다는 그룹의 의지를 반영하고 있다.
특히 눈에 띄는 것은 미래에셋증권과 미래에셋자산운용의 인사 내용이다. 미래에셋증권에서는 전무급 인사로 Product Trading본부의 최선민이 승진했고, 상무급에서는 AI Science팀의 진정혁, 트레이딩 플랫폼본부의 양상철, 디지털 PB본부의 김상화 등 다양한 부문의 인재들이 발탁되었다. 이는 금융업계에서 AI와 디지털 기술의 중요성이 날로 커지고 있다는 점을 감안한 조치로 해석된다.
미래에셋자산운용에서도 전무로 해외펀드솔루션본부의 송진용과 채권운용1본부의 최진영이 승진하며, 상무급에서도 인프라투자3본부의 박재영, 투자개발본부의 최진혁 등 다수의 인재가 발탁되었다. 이는 자산 운용 분야에서의 전문성을 더욱 강화하고, 고객에게 보다 나은 투자 솔루션을 제공하기 위한 전략으로 보인다.
또한, 미래에셋생명, 미래에셋캐피탈, 미래에셋벤처투자 등 다양한 계열사에서도 중대한 인사가 이루어졌다. 미래에셋생명에서는 홍보실의 황병욱과 IT본부의 박세일이 상무로 승진하였고, 미래에셋캐피탈에서는 멀티금융본부의 김재홍이 전무로 승진했다. 이러한 변화는 회사의 지속 가능한 성장과 글로벌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더욱 강화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미래에셋그룹은 이번 인사를 통해 고객의 기대에 부응하고, 금융 시장의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체계를 더욱 확고히 할 예정이다. AI와 디지털 전환, 글로벌 전략의 강화는 미래에셋그룹이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성을 제시하며, 이러한 변화는 금융업계 전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그룹의 새로운 비전과 함께, 고객에게 더욱 높은 가치를 제공하기 위한 노력이 지속될 것이다.
[관련기사]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9/0005582686?sid=101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