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의 항암면역치료제 전문기업 박셀바이오가 최근 다발골수종 치료제 개발을 위한 혁신적인 기술에 대한 특허를 등록했다. 이 기술은 골수침윤림프구(MIL)를 배양하고 활성화하여 암세포에 대한 공격력을 극대화하는 과정으로, 다발골수종 환자의 골수에서 분리한 림프구를 특정 사이토카인과 항체와 접촉시켜 14~21일 동안 배양하는 방법을 포함하고 있다.
이번 특허의 핵심은 림프구가 특정 사이토카인인 IL-2, IL-7, IL-15와 항-CD3/항-CD28 항체와 접촉하는 과정을 통해 CD8⁺ 중심 기억 T세포의 비율을 높이고, 면역을 억제하는 조절 T세포와 골수 유래 억제세포의 비율을 낮추는 것이다. 이러한 배양 과정에서 암세포 공격력의 또 다른 지표인 CD107a 발현율이 높아지는 현상이 관찰되었다. 이는 박셀바이오가 암세포에 대한 면역 반응을 보다 효과적으로 강화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박셀바이오는 이번 특허 기술을 활용하여 BCMA(B세포 성숙화 항원) 유전자를 CAR(키메라 항원 수용체) 기술로 골수침윤림프구에 집어넣어 다발골수종 치료제인 BCMA CAR-MIL을 개발 중이다. 이 치료제는 기존의 CAR-T 치료제와는 달리 골수에서 분리한 림프구를 기반으로 하고 있어, 종양 특이성이 높고 골수 내 다양한 암세포들을 장기간 추적하고 공격할 수 있는 특성을 지닌다.
이제중 박셀바이오 대표는 기존 CAR-T 치료제의 한계를 언급하며, 이러한 CAR-MIL 치료제가 골수 내 암세포를 기억하고 공격하는 경향이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그는 “CAR-T 치료제는 종양 도피와 항원 손실에 취약해 암 재발의 위험이 크지만, CAR-MIL 치료제는 중심 기억세포의 비율이 높아 골수의 다양한 암세포를 효과적으로 표적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현재 BCMA CAR를 발현한 골수침윤림프구 치료제는 전 세계적으로 상용화된 사례가 없다. 그러나 박셀바이오는 이번 연구개발이 지난 6월 국가신약개발과제로 선정된 만큼, 향후 상용화에 대한 기대가 높아지고 있다. 이번 특허 등록으로 박셀바이오는 일본 특허 2건을 포함해 총 14건의 특허를 보유하게 되어, 글로벌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더욱 강화하게 됐다.
[관련기사]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3524510?sid=102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