빈 공간의 재탄생 문화공간으로의 변화를 이끌다

국토교통부가 지방 소멸 위기에 대응하고 국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도시건축 디자인 혁신에 나섰습니다. 정부는 전국에 흩어져 있는 6천657개 건축공간문화자산을 적극 활용하여 사람들이 머물고 싶어하는 매력적인 지방 도시를 조성하고자 합니다. 이와 관련하여 30일 서울에서 열린 간담회에서는 건축 전문가들이 모여 다양한 정책 제안과 비전을 공유했습니다.

김윤덕 국토교통부 장관은 간담회에서 지방 중소도시 육성을 위한 건축공간문화자산 활용 방안을 논의했습니다. 이 자산은 한옥, 근대 건축 등 역사적·문화적 가치를 지닌 건축물과 공간으로, 지자체의 기초 조사에 따르면 전국에 6천657개소가 존재합니다. 서울이 879개소로 가장 많은 반면, 전남 571개소, 경남 553개소 등이 뒤를 이었습니다. 이러한 건축공간문화자산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국토부는 ‘우수건축공간문화자산’ 등록 제도를 운영하고 있으며, 현재 28개소가 등록되어 있습니다.

건축공간문화자산이 밀집된 지역은 ‘진흥구역’으로 지정되어 정부 지원을 받을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됩니다. 서울에 위치한 10개소를 포함해 총 14개소가 진흥구역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이러한 지역에서는 새로운 건축물 신축 및 개보수에 정부의 지원이 가능합니다.

두 번째 주제로는 도서관, 미술관, 주민센터 등 공공건축 공간을 ‘국민행복공간’으로 업그레이드하는 방안이 논의되었습니다. 국토부는 일상에서의 삶의 경험을 풍요롭게 하기 위한 다양한 아이디어를 모색하고 있습니다. 이와 함께 기후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한옥과 목조건축의 활성화 방안도 검토되고 있으며, 이는 건축 분야에서 탄소 저감을 실현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간담회에서는 다양한 의견이 제시되었습니다. 조병수 BCHO건축사사무소 대표는 아름다운 국토 경관을 강조하며, 지방도시의 독특한 매력을 살릴 수 있는 도시건축 디자인 계획의 필요성을 언급했습니다. 문승규 블랭크건축사사무소 대표는 빈 건축물이 방치될 경우의 문제를 지적하며, 빈 공간을 활용해 문화·휴식공간으로 재탄생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안했습니다. 그는 ‘지방소멸 대응 건축사’ 제도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빈 건축물을 공공공간으로 무상 제공할 경우 인센티브가 제공되어야 한다고 덧붙였습니다.

신정엽 신디자인랩건축사사무소 대표는 공공건축의 품질 향상을 위해 공정한 설계공모 시스템이 필요하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는 이러한 시스템이 청년 건축사들에게 소중한 참여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했습니다. 국토부는 이날 제시된 의견을 종합하여 건축공간문화자산 활용 확대와 건축사와의 협력을 통해 빈 공간 문제를 해결할 계획입니다. 특히, 공공건축물 설계공모의 공정성을 강화하기 위한 제도개선을 연내 추진할 예정입니다. 이러한 노력은 궁극적으로 국민의 삶의 질을 높이고 지방 도시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이끌 것으로 기대됩니다.

[관련기사]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88/0000973180?sid=101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