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AI로 반도체 혁신을 이끌다

삼성전자가 반도체 산업에서의 혁신을 위해 인공지능(AI) 기술을 적극 활용하고 있다. 이를 위해 세계적인 석학들과의 협력을 통해 새로운 방향성을 모색하는 ‘삼성 AI 포럼 2025’를 15일부터 16일까지 온·오프라인에서 개최하였다. 이번 포럼은 삼성전자의 디바이스솔루션(DS) 부문이 주관하며, AI 기술의 최신 연구 성과와 미래 비전을 공유하는 장으로 자리 잡았다.

올해로 9회를 맞이한 삼성 AI 포럼은 AI 기술 발전과 관련된 지식을 교류하는 중요한 행사로, 국제적으로 저명한 AI 전문가들이 참석하여 기조 강연을 진행하였다. 특히, 딥러닝 분야의 권위자인 요슈아 벤지오 교수와 AI 에이전트 연구의 권위자인 조셉 곤잘레스 교수가 강연에 나서며, 반도체 산업에서의 AI 활용 방안에 대해 심도 있는 논의가 이루어졌다.

첫날 포럼의 주제는 ‘반도체 산업의 버티컬 AI 전략과 비전’으로, 특정 산업 분야에 특화된 AI 기술인 버티컬 AI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버티컬 AI는 헬스케어, 법률, 금융, 제조, 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적용 가능하며, 각 산업의 고유한 문제를 해결하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이러한 접근 방식은 범용 AI에 비해 특정 분야에서 더욱 깊이 있는 지식과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산업 혁신에 기여할 수 있는 잠재력을 지니고 있다.

둘째 날의 주제는 ‘생성형 AI를 넘어, 에이전틱 AI로’로, 자율적으로 의사결정을 내리고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AI 시스템의 발전 가능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곤잘레스 교수뿐만 아니라, 자율적 계획 수립과 의사결정 분야의 전문가인 수바라오 캄밤파티 교수와 스타트업 인셉션의 공동창립자 스테파노 에르몬 교수 등이 강연에 참여하여 심도 깊은 논의를 이어갔다.

기술 세션에서는 삼성리서치 연구원들이 다양한 AI 기술을 공유하며, 그 중에는 카메라 색온도 자동조절 AI 기술, 효율적인 거대언어모델 학습기법, 그리고 스마트폰과 TV에 거대언어모델을 탑재하기 위한 온디바이스 기술 등이 포함되어 있다. 특히, 실제 목소리로 더빙 음성을 자동 생성하는 AI 기술은 향후 콘텐츠 제작 산업에 큰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된다.

전영현 삼성전자 디바이스솔루션 부문장 부회장은 이번 포럼을 통해 AI 기술이 사회와 산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논의할 수 있는 의미 있는 자리라고 강조하였다. 그는 “삼성전자는 다양한 업무 영역에 AI 기술을 적용하여 언제 어디서나 쉽고 빠르게 AI를 활용할 수 있는 기반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러한 삼성전자의 노력은 반도체 산업의 미래를 더욱 밝게 할 것으로 기대된다.

결론적으로, 이번 ‘삼성 AI 포럼 2025’는 반도체 산업에 있어 AI의 역할과 그 가능성을 재조명하는 중요한 기회가 되었다. 앞으로도 삼성전자는 AI 기술을 통해 반도체 산업의 혁신을 지속적으로 이끌어 나갈 것으로 보인다.

[관련기사]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31/0000965317?sid=101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