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유화학 업계가 연말까지 구체적인 사업재편 계획을 마련하기로 합의한 지 약 한 달이 지났지만, 논의는 좀처럼 진전을 보이지 않고 있다. 정부는 ‘선 노력, 후 지원’이라는 방침을 고수하며 기업들에게 연말까지 산업 재편안을 제출하라고 압박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업계의 이해관계가 복잡하게 얽혀 있어 구체적인 합의가 이루어지기까지는 시간이 걸릴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15일 업계에 따르면 여수, 대산, 울산 등 국내 주요 석유화학 산업단지에서는 최적의 구조조정 파트너를 찾기 위한 물밑 작업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정부가 제시한 수직 계열화 모델과 기업 간 수평적 통폐합 논의 등 다양한 시나리오가 검토되고 있는 가운데, 실제로 구체적인 통합 안이 연말까지 도출되기는 현실적으로 어려울 것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여수 석화단지에서는 GS칼텍스를 둘러싼 LG화학, 롯데케미칼, 여천NCC 간의 카드 맞추기가 시작되었고, 대산 석화단지에서는 HD현대오일뱅크와 롯데케미칼이 수직 계열화를 위해 협의 중인 것으로 전해진다. 울산에서는 SK에너지에서 나프타를 공급받는 SK지오센트릭과 대한유화가 NCC 통합을 통해 수직 계열화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업계 내에서는 롯데케미칼과 여천NCC 간의 빅딜 가능성 등 수평적 통합을 위한 논의도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업계 관계자들은 일반 기업 간 인수합병 과정은 최소 6개월이 걸리기 때문에, 통합 논의가 진행된다고 하더라도 협의 과정은 1년 이상 소요될 것이라고 지적한다. 현재 정부는 단순히 설비 감축을 지시하는 상황에서, 이러한 압박만으로는 실질적인 방안이 마련되기 어렵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업계 관계자는 “업체 간 통폐합 논의가 진행되더라도 정부의 압박이 현실적인 방안을 도출하는 데 장애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처럼 구조조정 논의가 더딘 이유는 업체 간의 이해관계가 복잡하게 얽혀 있기 때문이며, 또한 정부의 추가 지원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다. 업계는 신속한 구조조정을 위해 특별법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지만, 정부와 금융권은 여전히 ‘선 노력, 후 지원’ 방침을 고수하고 있다.
특히 업계는 자산 통합 과정에서의 세제 부담 경감과 공정거래법상 기업결합 심사의 한시적 완화 등 정부의 지원이 없이는 과감한 자구책을 마련하기 힘든 상황이라고 강조하고 있다. 협상 과정에서 기업들은 정부의 구체적인 정책적 지원이 논의에 탄력을 붙일 것이라는 요구를 하고 있으며, 체질 개선을 위한 기업들의 진통이 불가피하다는 점도 인식하고 있다. 따라서 정부는 석유화학 산업의 재도약을 위해 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결국, 석유화학 업계의 사업재편은 단순한 기업 간의 통합을 넘어 산업 전반에 걸친 구조개혁을 필요로 하고 있으며, 이를 위한 정부의 정책적 지원이 절실한 상황이다. 정부와 기업 간의 협력이 무엇보다 중요한 이 시점에서, 산업의 지속 가능성을 위한 실효성 있는 방안이 마련되기를 기대해본다.
[관련기사]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8485432?sid=101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