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랩, GCF 2025에서 사이버 보안의 미래를 제시하다

안랩의 창립자 안철수가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에서 열린 ‘글로벌 사이버시큐리티 포럼 애뉴얼 미팅(GCF 2025)’에 참석하여 사이버 보안에 대한 새로운 비전과 전략을 공유했습니다. 이번 포럼은 사우디아라비아 정부가 주최하며 국제 사이버 보안 문제를 논의하기 위한 중요한 장이 되었습니다. 안랩은 3년 연속으로 이 포럼에 참여하게 되었고, 특히 안철수 창립자와 현재의 CEO인 강석균 대표가 함께 초청받아 더욱 주목을 받았습니다.

GCF 2025는 ‘사이버 공간에서의 통합적 발전의 확장’이라는 주제로 열렸으며, 다양한 세션에서 사이버 보안의 중요성과 경제적 영향에 대해 심도 깊은 토론이 이루어졌습니다. 안철수 창립자는 센터 포 사이버이코노믹스 세션에서 ‘사이버 보안의 거시경제적 영향’에 대해 발표했습니다. 그는 사이버 보안이 국가 경쟁력과 경제 성장의 핵심 인프라라고 강조하며, 사이버 공격이 단순한 기술적 사건이 아니라 국제 경제와 신뢰에 위협이 된다고 경고했습니다.

그는 또한 사이버 보안 투자를 피해 방지 비용이 아닌 새로운 가치 창출 전략으로 보고, 디지털 의존도가 높은 분야에서의 취약성을 지적했습니다. 금융, 헬스케어, 제조업 등 다양한 산업에서 사이버 공격의 위험성을 강조하며, 공공과 민간의 협력 및 국제적인 정보 공유의 필요성을 주장했습니다.

강석균 대표는 SITE가 주관하는 주요 기업인 미팅에서도 활발히 논의에 참여했습니다. 그는 각국의 데이터 현지화와 보안 규제가 강화되는 상황에서, 보안 기업이 글로벌 수준의 신뢰와 서비스 품질을 유지하면서 현지 요건을 충족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설명했습니다. 이는 지속 가능한 보안 생태계 구축의 핵심 요소로 보았습니다.

AI 기술이 사이버 보안 분야에서 혁신의 도구이자 공격자의 무기가 되고 있다는 점을 언급하며, AI 기반 보안 전략은 선제적이고 적응적으로 진화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안랩은 ‘안랩 AI 플러스’라는 자체 AI 보안 플랫폼을 통해 탐지와 분석, 대응의 고도화를 추진하고 있으며, 지능적이고 능동적인 보안을 지향하고 있습니다.

이와 더불어, 안랩은 지난해 설립한 SITE와의 합작법인 ‘라킨’을 통해 중동 지역에서의 보안 생태계 확장을 위한 다양한 전략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하반기부터는 NGFW, IPS, XDR 제품의 판매를 본격화할 예정이며, 향후 AI 및 OT 보안 분야로의 협력 범위를 넓혀 경쟁력을 강화할 계획입니다. 이러한 노력을 통해 안랩은 글로벌 사이버 보안 시장에서의 입지를 더욱 확고히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관련기사]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138/0002206512?sid=105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