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성숙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이 5일 서울 강남구의 팁스타운 S1에서 취임 100일 기자간담회를 개최하며 중소기업 및 벤처기업의 성장을 위한 다양한 정책을 발표하였다. 한 장관은 중소기업이 회복을 넘어 지속 가능한 성장을 이룰 수 있도록 중기부가 선도적인 역할을 할 것이라고 강조하며, 구체적인 성장 전략을 제시했다.
그의 첫 번째 핵심 정책은 ‘어게인 벤처붐’ 비전으로, 이는 벤처투자 시장을 40조 원 규모로 조성하겠다는 계획을 담고 있다. 이를 위해 모태펀드 출자 예산을 두 배로 늘리고, 연기금과 퇴직연금 등의 벤처펀드 출자를 허용하여 민간 투자를 유도하는 것이 주요 골자다. 한 장관은 “금융권과 국민이 벤처투자에 참여할 수 있도록 다양한 제도를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청년 창업가 1000개사와 팁스 선정 기업 1200개사를 포함한 유망 창업 기업을 매년 6000개 이상 육성하여 ‘모두의 창업’ 시대를 열겠다는 포부를 전했다. 이를 통해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스타트업을 지원하고,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하는 데 기여할 계획이다.
내년에는 인공지능(AI) 및 딥테크 분야에 13조5000억 원 규모의 ‘넥스트 유니콘 프로젝트’를 본격적으로 실행할 예정이다. 이 프로젝트는 스타트업 펀드, 스케일업 펀드, 유니콘 펀드 등 세 가지로 나뉘며, 국회에 발의된 중소기업의 AI 확산법도 적극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이는 AI 기술을 활용한 혁신이 중소기업 성장에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이라는 믿음에서 비롯된 것이다.
중소기업의 성장 분야에 대한 투자도 강화할 방침이다. 내년도 중소벤처 R&D 예산은 역대 최대 규모인 2조2000억 원으로 편성되며, 이 중 1조1000억 원은 벤처캐피탈이 투자한 스타트업을 정부가 매칭 지원하는 팁스 방식으로 활용될 예정이다. 한 장관은 “뿌리 산업에서 첨단 산업에 이르기까지 지역 기반의 AI 전환 대전환을 추진하겠다”고 덧붙였다.
기업 승계 활성화를 위한 ‘인수·합병(M&A)형 기업 승계 특별법’ 제정도 추진될 예정이다. 이는 기업이 지속 가능하게 성장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하기 위한 노력 중 하나이다. 소상공인 지원을 위해서는 약 300만 명의 대출 소상공인을 모니터링하고, 맞춤형 정책자금과 채무조정, 폐업 지원 등의 프로그램을 제공할 계획이다.
한 장관은 ‘지역상권 르네상스 2.0’을 통해 K-관광, 산업, 문화 등을 접목한 글로컬 상권을 육성하겠다고 밝혔다. 이를 통해 유망 소상공인을 디지털 활용을 넘어 수출까지 할 수 있는 ‘K-소상공인’으로 육성하기 위해 민간 플랫폼과 협력하여 해외 판로를 지원하는 ‘톱스(TOPS) 프로그램’을 운영할 예정이다.
대기업과 중소기업, 소상공인이 상생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상생형 스마트 공장 구축과 해외 동반 진출 등을 지원하겠다고 강조했다. 또한, 스타트업의 제조 AI 기술을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에게 도입해 연결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한 장관은 “대기업, 중소기업, 스타트업, 소상공인이 연결된 융합 생태계를 조성하겠다”고 전하며, 경제 주체 간의 연결과 융합이 국가와 기업의 경쟁력을 높일 것이라고 확신했다.
그는 취임 이후 이틀에 한 번의 빈도로 중소기업 및 스타트업 현장을 방문하며 총 31회의 정책 현장 투어를 진행하였다고 밝혔다. 이 과정에서 내수 부진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을 통해 4조1000억 원 이상의 소비 진작 효과를 창출했다고 강조했다. 이러한 노력은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한 초석이 될 것이다.
[관련기사]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1/0002747936?sid=101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