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성숙 장관 AI로 중소 제조업 혁신의 새 시대 열다

23일 롯데호텔 제주에서 열린 ‘2025 중소기업 리더스포럼’에서 한성숙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이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스마트 제조 혁신에 대한 강연을 진행하였다. 이 자리에서 한 장관은 중소 제조 기업들이 AI를 통해 생산성을 높이고 불량률을 줄일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그는 중소기업이 청년들이 찾는 ‘진짜 강소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돕겠다고 강조했다.

한 장관은 제조업이 한국 경제의 핵심 성장 동력이라고 언급하며, 디지털 전환을 넘어 AI로의 혁신이 절실하다고 덧붙였다. 현재 한국의 제조업체 수는 약 63만 개에 달하지만, 스마트 공장 도입률은 19.5%에 불과하며, 고도화된 스마트 공장은 전체의 0.6%에 지나지 않는다. 이러한 현실 속에서 많은 중소기업이 AI 도입에 대한 투자 비용 부족을 가장 큰 장애물로 꼽고 있으며, 응용 서비스 부족과 데이터 한계 등도 주요 문제로 지적되었다.

중소기업청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스마트 공장 도입을 통해 공정을 개선하고 불량률을 줄이며 매출 증진에 기여할 수 있도록 다양한 정책을 추진할 예정이다. 한 장관은 AI를 통한 변화를 통해 중소기업이 나이가 들어가는 것이 아닌, 지속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또한 ‘스마트 제조 혁신 3.0’이라는 정책을 통해 AI를 본격적으로 제조 현장에 도입하고, 생산 공정을 자동화하며 제조 데이터를 표준화하는 생태계를 구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를 통해 중소기업 특화 업종에 맞춘 스마트 공장 도입을 지원하고, 지역별로 우수 제조 기업을 선정하여 지역 특화형 스마트 공장도 추진할 예정이다.

중소기업청은 ‘스마트 제조 산업 육성법’ 제정을 통해 스마트 제조 기술 기업을 지정하고, AI 역량 평가 및 맞춤형 컨설팅을 체계화할 방침이다. 창업부터 해외 진출까지 성장 단계별 맞춤형 지원을 통해 글로벌 전문 기업으로 육성하겠다는 목표도 세웠다.

내년 정부 예산도 대폭 증액되었으며, 스마트 제조 관련 예산은 4552억 원으로 올해보다 2073억 원이 증액되었다. 특히 AI 팩토리 자동화 분야의 예산이 크게 증가하였으며, 제조 AI 솔루션 및 연구 개발(R&D)과 성과 확산을 위한 새로운 사업도 마련할 예정이다.

한 장관은 R&D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개별 기업이 R&D를 수행하기 어려운 현실을 감안하여 중소기업청이 적극적으로 지원할 방안을 모색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한국의 제조업이 글로벌 시장에서도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다양한 교류를 확대할 계획임을 설명했다.

향후에는 AI 기반의 스마트 제조 혁신 추진 전략을 수립하여 발표할 계획이며, 중소기업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한 다양한 정책을 추진할 예정이다. 이러한 노력들이 중소 제조업의 경쟁력을 높이고, 청년들이 선호하는 일자리 창출로 이어지기를 기대하고 있다.

[관련기사]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366/0001110267?sid=101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