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 은퇴 과학자 활용 사업 본격 추진…전문가 자문 강화

경북도가 은퇴 과학자 활용 사업을 본격적으로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지난 8일, 경북연구원 대회의실에서 열린 ‘2025 K-과학자 매칭 데이’는 경북의 다양한 사업에 과학자들의 전문 지식과 연구 경험을 접목시키기 위한 중요한 행사로 자리 잡았습니다. 이 행사에서는 경북도청의 팀장들이 각 사업에 대한 설명을 하고 참석자들과의 질의응답 및 사업 계획에 대한 토론이 진행되었습니다.

행사 시작에 앞서, 과학자들이 경북에서 연구와 도정 협력 사업을 추진할 수 있는 공간인 ‘K-과학자센터’의 현판식도 함께 열렸습니다. 이 센터는 경북연구원 내에 위치하며, 과학자들이 연구를 진행하는 동안 필요한 자원을 공유할 수 있는 사무실로 운영됩니다. 경북도는 각 과학자에게 도청 팀장과 경북연구원 박사를 배정하여 성과 중심의 활동을 강화할 계획입니다.

이번 행사에는 인공지능(AI) 분야의 전문가인 차인혁 광주과학기술원 특임교수가 참여하여 경북형 글로컬 대학 육성 방안과 지역 거점형 AI 데이터센터 구축 사업에 대한 자문을 제공합니다. 또한, 원자력 분야의 김무환 포스텍 특임교수는 동해안 원자력 클러스터 추진위원회 운영과 고온 공정열 연계 수소 생산 기술 산업화에 기여할 예정입니다.

황일순 울산과학기술원 석좌교수는 경북도의 소규모 모듈 원전(SMR) 규제자유특구 지정 전략을 수립하는 데 도움을 주며, 한상철 전 한국에너지공대 기획처장은 자율 제조용 온 디바이스 AI 테스트베드 구축과 경북 로봇산업 생태계 정책 포럼을 지원합니다.

또한, 김오룡 영남대 명예교수는 경북 의과대학 설립을, 남홍길 대구가톨릭대 역노화연구원장은 농산물 항노화 연구와 산업 육성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정용환 전 한국원자력연구원 본부장은 경북도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과학 문화 확산에 기여하고 있으며, 안교한 포스텍 명예교수는 경북테크노파크 첨단메디컬융합섬유센터와 함께 유전자 및 세포치료 미래 유망 기술 육성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고도원 아침편지 문화재단 이사장은 문화예술과가 추진하는 ‘한글의 전당’ 건립에 대한 협력도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철우 경북지사는 이번 K-과학자 매칭 데이가 인공지능, 의료, 원자력, 디지털 전환 등 다양한 분야의 석학들을 초빙하여 지역 사업과 연계한 첫 번째 사례라고 강조했습니다. 그는 과학자들의 전문 지식과 연구 경험을 활용하여 경북의 산업 구조를 혁신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이러한 노력은 부서별 사업뿐만 아니라 과학 강연, 인재 육성, 지역 기업의 연구개발(R&D) 지원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이루어질 것입니다.

[참조기사]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3412991?sid=102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