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투자협회와 벤처캐피탈협회가 함께하는 혁신적 모험자본 지원의 새로운 장

금융투자협회가 벤처캐피탈협회와 손잡고 혁신기업 성장에 필요한 모험자본을 공급하기 위한 협약을 체결했다. 28일 서울에서 열린 이번 협약식은 ‘생산적 금융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MOU)’이라는 이름 하에 진행되었으며, 자본시장과 벤처캐피탈 업계의 협력을 통해 혁신기업의 성장을 지원하는 체계를 구축하자는 취지가 담겼다.

협약의 주요 내용은 두 기관이 힘을 모아 유망 기업을 발굴하고, 이들 기업에 대한 단계별 투자를 통해 사업 규모를 확장하는 것이다. 특히, 최근 통과된 기업성장투자집합기구(BDC) 법안을 활용하여 생산적 금융을 확대하고, 모험자본 공급을 위한 다양한 사업 발굴에 나설 계획이다. BDC는 펀드 자산의 절반 이상을 신사업 기업과 벤처 업종에 투자하는 공모펀드로, 미국에서 벤처 자금의 주 공급처로 자리 잡은 바 있다.

서유석 금투협 회장은 이번 협약의 의미를 강조하며, BDC 법안 통과를 환영했다. 그는 ‘생산적 금융 확대가 국가 차원의 핵심 정책 과제로 추진되고 있는 시점에서 이번 협약은 큰 의미가 있다’고 언급하며, 다양한 금융 수단을 활용해 혁신 기업에 안정적으로 모험자본을 공급할 기반을 다지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이준희 벤처캐피탈협회 상근부회장은 혁신 벤처기업의 성장이 경제의 미래 성장동력이라며, 이번 협약을 통해 벤처투자와 자본시장의 협력이 더욱 강화되기를 기대한다고 전했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고금리 등의 영향으로 벤처 투자가 위축된 상황이다. 이로 인해 스타급 혁신 기업이 나오기 어려운 상황이 지속되고 있으며, 정부는 관련 투자를 증대하기 위한 다양한 시책을 추진하고 있다. 금융당국이 현재 진행 중인 발행어음 인가 심사에서도 모험자본 활성화가 주요 이슈로 부각되고 있으며, 신청하는 증권사들이 공격적인 확대 계획을 내세우고 있다.

발행어음은 자기자본 4조원 이상의 요건을 만족하는 대형 증권사가 발행하는 1년 만기 이하의 금융상품으로, 시중에서 수요가 높아 유망 자금 유치 수단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번 발행어음 사업자 심사에는 삼성증권, 하나금융투자, 메리츠증권, 신한투자증권, 키움증권 등 5개 주요 증권사가 신청서를 제출했다.

이러한 협약과 정책들이 실제로 벤처기업에 도움이 될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혁신기업의 성장은 단순히 한 기업의 성공을 넘어 한국 경제 전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할 것이기 때문이다. 앞으로의 행보가 기대되는 가운데, 양 협회가 어떤 구체적인 성과를 내게 될지 관심이 모아진다.

[관련기사]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5591309?sid=101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