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 창업지원센터는 예비 창업자들에게 새로운 기회를 제공하는 공간으로 자리 잡고 있다. 그러나 최근 들어 이들 센터의 운영 방식에는 문제가 있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특히, 많은 대학들이 예비 창업자에게 높은 진입 장벽을 설정하고 있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예비 창업자들이 공간을 필요로 하는 상황에서, 그들이 소외되고 있는 현상은 심각한 문제로 여겨진다.
대부분의 대학 창업지원센터는 예비 창업자뿐만 아니라 초기 창업자와 기창업자까지 입주 자격을 열어두지만, 실제로는 기창업자의 비율이 높은 편이다. 예를 들어, 숭실대학교와 건국대학교, 충남대학교, 국민대학교와 같은 몇몇 대학들은 입주 자격을 갖춘 예비 창업자에게도 매출 증빙서류를 요구하고 있다. 이는 창업 초기 단계에 있는 예비 창업자에게는 큰 부담이 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그들이 창업지원센터에 입주하는 데 어려움을 겪게 만든다.
한 창업자는 “매출과 성장 실적이 있는 팀이 가점을 받는 구조로 보여 예비 창업자가 불리하다”며, “일부는 대학 창업센터를 기업의 지점처럼 활용하고 있어 진짜 공간이 필요한 학생 창업팀은 들어가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고 밝혔다. 이는 예비 창업자들에게 실질적인 지원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음을 잘 보여준다.
대학 창업센터 관계자들은 이러한 우려에 대해 매출 자료는 기창업자에 대한 정보 확인 차원일 뿐이며, 예비 창업자들이 입주할 수 없는 시스템은 아니라고 해명했다. 그러나 이러한 입장은 예비 창업자들이 느끼는 현실적 어려움과는 거리가 멀다. 이러한 상황에서 많은 예비 창업자들은 외부 공간을 찾거나 다른 방식으로 사업을 시작하는 경향이 있다.
전문가들은 대학의 창업지원센터가 산업 협력 기업 유치뿐만 아니라 학생 창업팀의 첫 도전을 지원하는 공간으로 자리매김해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이는 단순히 공간을 제공하는 것 이상의 의미를 지닌다. 한 창업 멘토는 “대학 창업센터는 아이디어 단계에서 실패해도 다시 시도할 수 있는 실험실 같은 곳이어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학생에게 가점을 주고 공정한 가이드라인을 마련해야 한다. 그래야 대학이 진정한 의미에서 창업 인재를 길러내는 역할을 할 수 있다”고 말했다.
따라서 대학 창업지원센터는 예비 창업자들이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실현할 수 있는 플랫폼으로 기능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보다 포괄적이고 공정한 기준을 마련해야 한다. 대학들은 창업을 지망하는 학생들에게 실질적인 지원을 제공하고, 그들이 한 단계 더 나아갈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해야 할 것이다. 예비 창업자들이 창업센터에 쉽게 접근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곧 대한민국의 창업 생태계 발전에 큰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다.
[관련기사]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30/0003354899?sid=102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