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업의 여정은 많은 이들에게 도전과 시련으로 가득 차 있다. 자금 조달, 인재 확보, 마케팅 전략 등 수많은 선택의 갈림길에서 초보 창업자들은 종종 방향을 잃곤 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멘토링의 중요성이 부각되지만, 전통적인 멘토링 방식은 대개 개인 경험과 직관에 의존해왔으며, 이로 인해 객관적인 판단 기준을 찾는 것은 여전히 어려운 과제로 남아 있었다. ㈜더필드플레이어가 선보인 PARANAVI® Series, 즉 파란나비는 이러한 문제를 정면으로 겨냥하고 있다.
김태은 대표는 5년간 700회 이상의 멘토링 경험을 통해 축적한 지식을 바탕으로 이 시리즈를 개발하였다. 파란나비는 반정형 데이터(semi-structured data)를 구조화하여, 이를 인공지능(ANI) 기술로 분석함으로써 창업자에게 맞춤형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것을 핵심으로 하고 있다. 지난해 11월 서울에서 진행된 파란나비 MVP 테스트에서는 예비 창업자와 초기 스타트업들이 업종별 고민을 시스템에 입력했으며, 그 결과 데이터와 설계된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상황에 맞는 조언을 제공받았다. 참가자들은 이러한 혁신적인 접근에 대해 “내 상황에 맞는 길이 보인다”는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며 높은 만족도를 나타냈다.
올해 5월에는 사용자 테스트가 진행되었고, 그 결과 예상치 못한 수요가 나타났다. 이번 테스트에서는 창업자뿐만 아니라 현장 멘토들 역시 데이터 기반의 구조적 보조 도구를 필요로 한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몇몇 멘토들은 직접 더필드플레이어를 찾아와 검증된 수요를 전달했으며, 이로 인해 ‘M(Mentor)’ 버전으로의 확장이 가능해졌다. 이는 올가을 창업자와 멘토를 동시에 겨냥하는 새로운 서비스로 발전할 예정이다.
또한 주목할 만한 점은 ‘L(Lens)’라는 확장이다. 더필드플레이어가 독자적으로 개발한 엔진인 ‘FIELDLENS’는 리더십 리스크 신호와 조직 운영 패턴을 분석하고 시뮬레이션하는 ANI 기반의 서비스로 정식 네이밍되었다. 이는 초기 창업팀의 운영과 대표자의 리더십 문제를 데이터로 진단하여, 실제 조직에 위험을 미칠 수 있는 유형을 분류하고 사람과 구조를 동시에 바라보는 방식으로 설계되었다.
김태은 대표는 “창업은 단순히 계획서나 지원금, 수상 경력으로 이루어지는 일이 아니다”라며, “현장에서 실제로 작동하는 구조를 보여주는 것이 저희의 역할”이라고 강조하였다. 이러한 발언은 창업 멘토링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는 동시에, 창업자들이 보다 효과적으로 자신의 사업을 운영할 수 있도록 돕겠다는 의지를 나타낸다.
업계는 파란나비 시리즈(M·L)가 은퇴하거나 변화에 적응하기 힘든 1세대 멘토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이는 1인 기업을 조직으로 확장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구조화 문제를 진단하고, 창업 문화 전반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창업자들은 이제 파란나비를 통해 데이터 기반의 통찰을 얻고, 보다 명확한 방향성을 가지고 자신의 비즈니스를 운영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게 될 것이다.
[관련기사]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382/0001227444?sid=101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