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세플라스틱 검출된 국내 생리대 유기농 제품도 포함된 안전성 문제

최근 성균관대학교의 연구팀이 국내에서 판매되는 생리대의 안전성과 독성 수준을 평가한 결과, 총 29종의 생리대에서 미세플라스틱이 검출되었다. 이 연구는 유기농 생리대를 포함한 다양한 제품을 대상으로 하여 진행되었으며, 예상치 못한 결과가 소비자들에게 충격을 주고 있다. 연구팀에 따르면, 조사 대상이 된 생리대 29종에는 국내에서 생산된 제품 20종과 유럽에서 수입된 제품 9종이 포함되어 있었다. 이 중 ‘유기농’이라고 표기된 생리대가 20종이나 있었지만, 그 안전성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연구팀은 미세플라스틱 외에도 휘발성유기화합물(VOCs)과 세포 독성을 평가하였으며, 모든 생리대에서 미세플라스틱이 발견되었다. 특히, 한 개의 생리대에서 검출된 미세플라스틱의 수는 최소 6개에서 최대 115개로 다양하게 나타났다. 같은 조건에서 측정된 천일염과 물티슈에서도 미세플라스틱이 발견되었지만, 생리대에서의 검출량은 훨씬 더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미세플라스틱은 5㎜ 이하 크기의 플라스틱 조각으로, 인체와 자연 생태계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들은 인체에 축적되면 염증을 유발하고 대사 장애를 일으키는 등 다양한 건강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연구에 따르면, 29종의 생리대 중 28종에서는 독성 물질도 발견되었다. 조사된 생리대에서 톨루엔과 같은 휘발성유기화합물이 검출되었지만, 기존 산업 안전 기준치보다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피부 흡수성과 장기간 사용에 따라 건강에 미치는 영향이 우려된다. 세포독성 실험 결과, 22종의 생리대에서 세포 생존율이 80% 미만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세포독성이 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특히, 20종의 유기농 생리대 중 14종에서 세포독성이 확인되었다. 이에 연구팀은 제품의 소재와 제조 공정에서 사용되는 화학물질이 최종 제품의 독성 수준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강조했다.

이번 연구는 성균관대학교와 하와이대학교, 충북대학교의 연구진이 함께 참여한 국제 공동연구로, 결과는 환경과학 분야의 국제 학술지인 ‘저널 오브 해저더스 머터리얼즈’에 게재되었다. 앞으로 소비자들은 생리대 선택 시 안전성을 더욱 신중하게 고려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이 연구 결과는 건강을 중시하는 소비자들에게 경각심을 불러일으킬 것으로 보인다.

[관련기사]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4/0005402057?sid=103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