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산업단지공단이 산업단지를 창업 플랫폼으로 혁신하고자 하는 노력이 가속화되고 있다. 기존의 단순한 입주 중심의 전략으로는 산업의 혁신을 이루기 어렵다는 인식 아래, 맞춤형 지원과 투자를 통해 창업부터 재투자까지 이어지는 선순환 시스템을 구축하겠다는 계획이 세워졌다. 2023년 기준으로 산업단지 내 제조창업 기업 수는 8931개로, 전체 창업기업의 73.5%를 차지하고 있다. 비록 2019년 대비 다소 감소한 수치를 보이고 있지만, 로봇, 인공지능(AI), 친환경 소재 등 고부가가치 산업 분야에서의 창업이 증가하고 있어 산업의 질적 고도화가 진행되고 있다는 분석이 있다.
하지만 이러한 긍정적인 변화 속에서도 여전히 해결해야 할 과제가 존재한다. 현재 산업단지 내 창업기업의 65%가 임차 형태로 운영되고 있으며, 창업 1년차 기업의 임차율은 무려 87%에 달한다. 이는 대다수 기업이 연구소 수준의 오피스에 머물고 있으며, 실제 생산은 외부 공장을 임대해 진행하는 경향이 있음을 시사한다. 특히 4~7년차 도약기 기업이 전체의 73%를 차지하지만, 연구개발(R&D) 이후 양산 단계에서 자금난에 시달리는 경우가 많다. 한 도약기 기업의 대표는 “제품 개발에는 성공했지만 양산 자금이 부족해 대규모 수주 계약을 이행하지 못했다”고 전했다.
더욱이, 산업단지에 위치한 제조창업의 80% 이상이 수도권에 집중되어 있다는 점은 지역 균형 발전에 전혀 기여하지 못하는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창원, 구미, 부평 등 전통 제조 거점에서는 제조 창업 비중이 10% 이상 감소했으며, 창원산단의 경우 2019년 89.6%에서 2023년 69.4%로 하락했다. 이러한 현실 속에서 한국산업단지공단은 산업단지를 창업의 플랫폼으로 전환하겠다는 전략을 내놓았다.
이 전략의 핵심은 공간, 성장, 거버넌스의 세 축으로 구성된다. 공간 혁신 측면에서 산단공은 휴폐업 공장을 리모델링하여 입주, 편의, 지원 기능을 결합한 ‘창업거점센터(KICXUP)’를 서울과 광주에 구축했다. 전국적으로 28개소에서 국비 1637억 원을 투자하여 맞춤형 창업 지원 공간을 확충하고, 업종별 및 성장 단계별로 유연한 임대 공간을 제공할 계획이다. 또한, 도약기 기업의 스케일업을 지원하기 위한 단계별 프로그램도 강화하고 있으며, 초기 기업에는 교육, 멘토링 및 시제품 제작을, 도약기 기업에게는 자금 조달, 공동 마케팅 및 수요 기업 연계를 지원할 예정이다.
비수도권 창업 활성화를 위해 중견기업과의 기술 협업을 연결하는 민간 엑셀러레이팅사 유치도 추진 중이다. ‘창업혁신지구(가칭)’ 지정과 ‘산업단지 창업지원협의체’ 구성을 통해 공공과 민간의 협력 기반을 확장할 방침이다. 아울러, 산학융합지구 등 기존 제도를 활용하여 입주 규제 완화와 세제 혜택을 검토하고, 창업 입지, 보육, 투자, 회수 등 전 과정을 포괄하는 협의체 운영을 통해 ‘육성-안착-재투자’의 선순환 구조를 구축할 예정이다.
한국산업단지공단 관계자는 “제조창업은 산업단지의 활력과 경쟁력을 되살릴 핵심 동력”이라고 강조하며, “창업기업이 산업단지 안에서 성장하고 후속 창업을 돕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어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렇게 산업단지의 창업 생태계 조성을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이 확립되어 나가고 있으며, 이는 한국 경제의 미래를 밝히는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관련기사]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4/0005424666?sid=101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