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양식품이 신제품 ‘삼양 1963’을 출시하며 우지 라면의 새로운 시대를 열었다. 이 혁신적인 제품은 1989년 발생한 ‘우지 파동’으로부터 36년이 지난 지금, 창업주 전중윤 명예회장이 품고 있던 숙원을 풀기 위한 결정적인 발걸음이 되었다. 김정수 부회장은 이 신제품이 삼양식품의 정체성을 회복하고, 미래로 나아가는 중요한 전환점이라고 강조했다.
‘삼양 1963’은 우지를 사용한 프리미엄 라면으로, 그 맛의 깊이는 과거 삼양라면의 제조 기술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함으로써 이루어졌다. 특히, 1960년대의 유탕 처리 방식을 적용하여 동물성 기름인 우지와 식물성 기름인 팜유의 완벽한 비율로 조화를 이루었다. 이는 고소한 맛과 깊은 풍미를 제공하며, ‘골든블렌드 오일’을 사용해 면과 육수의 조화를 극대화했다.
신제품의 스프는 기존의 분말 형태에서 벗어나 액상 형태로 변화를 주었으며, 후첨분말후레이크를 추가하여 원재료의 풍미를 더욱 강조했다. 한국인의 입맛에 맞춘 매운맛 또한 강조되었으며, 사골육수로 우려낸 우지와 함께 무와 대파, 청양고추를 사용하여 깊이 있는 맛을 구현했다.
김 부회장은 ‘우지 파동’이 삼양식품에게 가져온 극심한 위기와 그로 인해 잃어버린 신뢰를 회복하기 위한 여정에 대해 진솔하게 이야기했다. 그는 “잘못된 정보로 인해 공업용 우지라는 오명을 썼지만, 우리는 도전을 멈추지 않았고 다시 일어섰다”고 말했다. ‘삼양 1963’은 과거의 아픔을 극복하는 의미에서도 특별한 제품으로 여겨진다.
삼양식품은 이 신제품을 통해 과거의 아름다움을 계승하면서도 새로운 브랜드 이미지와 가치를 창출하고자 하였다. 김 부회장은 불닭볶음면으로 글로벌 시장에서의 성공을 이룩한 경험을 바탕으로, ‘삼양 1963’ 또한 세계 100여 개 국가에서 사랑받는 제품으로 성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라면 한 봉지의 가격은 1500원으로, 다소 높은 가격대이지만 김 부회장은 “최고급 품질을 위해 아낌없이 재료를 사용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 제품이 과거 1000여 명의 직원들에게 아픔을 안겼던 ‘우지 파동’을 상기시키며, 그들과 현재의 4000여 명 임직원의 마음을 담아내고자 했다고 전했다.
결국, ‘삼양 1963’은 단순한 라면 제품을 넘어, 삼양식품의 역사와 미래를 아우르는 상징적인 존재가 되었다. 김 부회장은 “전중윤 창업주의 한을 풀 수 있는 기회를 얻어 감개무량하다”며, 이번 신제품이 단순히 과거를 복원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혁신의 시작이라고 강조했다. 이러한 신념은 삼양식품이 앞으로도 지속적인 도전과 혁신을 통해 더욱 발전할 수 있는 기반이 될 것이다.
[관련기사]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629/0000440181?sid=101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