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연구에 따르면, 스타트업이 특허와 상표를 출원할 경우 자금조달 가능성이 최대 17.1배 증가하고, 엑시트 가능성도 두 배 이상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 연구는 한국지식재산연구원과 한국개발원이 공동으로 진행한 것으로, 1999년부터 2025년 상반기까지 2,615개의 스타트업을 대상으로 투자 정보와 특허 및 상표 출원 데이터를 분석하여 지식재산 활동이 스타트업의 자금조달과 엑시트 가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밝혀냈습니다.
특허권은 기술적 발명에 대한 독점적 권리를 보장하며, 상표권은 브랜드 이름과 로고에 대한 권리를 보호합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스타트업이 이러한 권리를 확보한 경우, 자금조달 가능성이 최소 1.7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스타트업이 성장 단계에 접어들수록 이 비율은 더욱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습니다. 예를 들어, 시드 단계에서는 1.7배였으나, 초기 단계인 시리즈 A와 B에서는 3.1배, 후기 단계인 시리즈 C 이후에는 최대 6.3배까지 높아졌습니다. 해외에서 특허나 상표권을 확보한 경우, 자금조달 가능성은 무려 7배 이상 증가했습니다.
특허와 상표 출원 활동을 동시에 진행하는 경우, 후기 단계 스타트업에서 자금조달 가능성이 최대 9배까지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또한, 특허 및 상표권을 20건 이상 출원한 스타트업의 경우 자금조달 가능성이 17.1배에 달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습니다. 이러한 지식재산 활동은 기업공개(IPO)나 기업 인수합병(M&A) 등 엑시트 가능성도 두 배 이상 높이는 효과를 가져왔습니다. 특히 해외에서 특허 및 상표 출원을 병행하는 경우, 엑시트 가능성이 최대 5.9배까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스타트업의 지식재산 정보가 외부 투자자에게 기업의 성장 가능성과 가치를 평가하는 중요한 지표로 작용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김완기 특허청장은 “스타트업이 혁신의 가치를 인정받고, 투자 유치 등 성장의 선순환 구조를 만들 수 있도록 지원 정책을 확대해 나가겠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스타트업이 경쟁력을 갖추고 지속 가능한 성장을 이루기 위한 중요한 기초가 될 것입니다.
[참조기사]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584/0000033478?sid=105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