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트업에 뛰어드는 우수 인재들이 늘어나고 있는 가운데, 이들이 선호하는 보상 형태 중 하나가 바로 스톡옵션입니다. 스톡옵션은 기업이 성장할 경우 개인의 성장과 보상 기회를 동시에 제공하는 매력적인 수단으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그러나 최근 한국에서 이 스톡옵션이 과도한 세금 추징의 대상이 되면서 스타트업 생태계에 심각한 위기를 초래하고 있습니다.
최성진 스타트업성장연구소 대표는 스타트업의 매력이 큰 성장 잠재력과 보상 기회에 있다고 설명합니다. 특히 미국에서는 뛰어난 기술 인재들이 대기업보다 스타트업에 더 큰 보상을 기대하고 있으며, 이는 스톡옵션과 같은 주식 성과 보상 제도를 통해 실현됩니다. 하지만 한국에서는 세무당국이 스타트업의 전·현직 임직원에 대해 스톡옵션 행사 시 적게 낸 세금을 과거로 거슬러 추징하는 사례가 속속 등장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한 스타트업 임원이 2021년에 스톡옵션을 행사하고 회사가 회계법인을 통해 산정한 평가금액을 기준으로 세금을 납부했으나, 세무서가 나중에 주주 간의 거래 사례를 찾아내어 그 가치를 세 배로 평가하고 추가 세금을 부과한 경우가 있습니다. 이처럼 비상장 주식의 경우 거래가 드물기 때문에 세무당국의 자의적인 과세는 불합리한 상황을 초래합니다.
스톡옵션은 본질적으로 ‘미실현 이익’으로, 주식을 행사해도 당장 현금화하기 어려운 점에서 큰 리스크를 내포하고 있습니다. 행사 시점에 세금이 부과되고, 세무당국의 임의적인 가격 산정에 따라 세금이 추징된다면 이는 사실상 ‘세금 폭탄’이 되는 것입니다. 스타트업이 성공하지 못할 경우, 이미 낸 세금은 고스란히 손실로 이어지게 됩니다. 이러한 상황은 스톡옵션이 인재에게 매력적인 보상이 아니라 오히려 부담으로 작용하게 만듭니다.
반면, 해외에서는 스톡옵션이 스타트업 인재 유치의 핵심 수단으로 기능하고 있습니다. 미국의 인센티브 스톡옵션 제도는 행사 시점에 과세를 유예하고, 장기 보유 시 자본 이득세 감면 혜택을 제공합니다. 영국과 싱가포르 또한 스타트업 친화적인 보상 제도를 운영하여 글로벌 인재가 도전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제도는 혁신 생태계의 경쟁력으로 이어집니다.
한국의 스톡옵션 제도는 벤처기업에 대해 과세 유예 등의 특례를 도입했지만, 그 조건이 까다로워 인재 확보에 큰 도움이 되지 못하고 있습니다. 최근 세수 확보를 위한 무리한 세금 추징은 스타트업 인재들에게 배신감마저 안겨주고 있습니다. 세무당국의 aggressive한 세금 추징은 윤석열 정부가 시작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세수 부족을 메우기 위해 세무 공무원에게 인센티브까지 제공하고 있다는 주장이 있습니다. 고액 체납자나 조세 포탈 범죄자에게 향해야 할 세무당국의 칼날이 스타트업 인재들에게 돌아가고 있는 현실은 매우 우려스럽습니다.
이런 상황이 지속된다면 한국의 스타트업은 글로벌 경쟁에서 뒤처질 수밖에 없습니다. 따라서, 무리한 세금 추징을 즉각 중단하고 합리적인 기준을 마련해야 합니다. 또한 스톡옵션 제도를 예측 가능하고 유연하게 개선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합니다. 스타트업 친화적인 스톡옵션 제도의 개혁 없이는 혁신 생태계의 미래도 없다는 점을 명심해야 합니다. 지금이야말로 정부와 국회가 나서서 인재 유치의 핵심 수단을 되살릴 때입니다.
[관련기사]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8/0005254146?sid=110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