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영빈 우주항공청장이 개청 100일을 맞아 서울 여의도에서 진행한 인터뷰에서 민간 주도 우주 개발의 중요성과 차세대 발사체 기술에 대한 지식재산권(IP) 갈등 해결 방안에 대해 강조했다. 그는 “뉴스페이스 시대에 민간기업의 역할이 확대되고 있으므로 제도적 개선이 필수”라며, 한국항공우주연구원과 한화에어로스페이스 간의 갈등에 대한 정부의 중재 의지를 밝혔다. 윤 청장은 차세대 발사체 사업에 대해 정부와 기업 모두가 윈윈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고 언급하며, 민간기업이 신기술을 습득하고 이를 산업화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노력할 것임을 강조했다.
차세대 발사체 사업은 2조 원 규모로, 2032년 달 착륙선을 발사하기 위한 고성능 발사체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다. 하지만 현행법상 민간기업이 상업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IP를 보유하지 못하는 상황이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윤 청장은 “매칭펀드와 같은 대응 투자를 통해 민간기업의 IP 요구가 정당화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러한 갈등이 법적 분쟁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적극적으로 합의를 이끌어내겠다는 의지를 보였다.
또한, 윤 청장은 우주청이 기업 마인드를 갖추고 벤처기업의 특성을 반영해야 한다고 강조하며, 이를 통해 우주 개발 사업에서 민간기업의 참여를 더욱 증진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우주청은 공무원들로 구성되어 있지만, 상향식 조직으로 자율적인 정책 아이디어 발굴을 지향할 것”이라며, 직원들에게 도전적인 사업 발굴을 독려하고 있다.
윤영빈 청장은 우주 개발의 성공을 위해서는 국내 산업계 전반에 벤처 문화가 스며들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미국의 스페이스X와 같은 혁신적인 기업들이 재사용 발사체 개발을 통해 발사 서비스 단가를 낮춘 사례를 언급하며, 한국도 유사한 성과를 낼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초중고생을 대상으로 한 우주 캠프와 같은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등 우주청의 적극적인 역할을 예고했다.
윤 청장은 스핀온(spin on) 전략의 중요성도 강조했다. 스핀온 전략은 기존의 첨단 기술을 우주 분야에 응용하여 새로운 시장을 창출하는 방안으로, 윤 청장은 이를 통해 반도체, 자동차, 바이오 등 주력 산업과의 융합을 도모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스핀온 시대가 다가오고 있으며, 이를 통해 우주 산업과 다른 산업 간의 시너지를 창출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결론적으로, 윤영빈 우주항공청장은 민간기업과의 협력을 통해 뉴스페이스 시대를 열어가고 있으며, 제도적 개선과 벤처 마인드의 확산을 통해 한국의 우주 산업을 한 단계 발전시키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앞으로 발표될 ‘대한민국 우주탐사 로드맵’과 함께 우주청의 전략적 비전이 더욱 분명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관련기사]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1/0004387380?sid=105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