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린테크 분야에서 주목받고 있는 이도가 최근 산업폐기물 재활용 기술의 고도화에 성공하며 자원 순환과 탄소 중립 실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 회사는 폐기물 처리에서 시작해 신재생 에너지 및 인공지능(AI) 인프라까지 포괄하는 종합 클린테크 기업으로 성장할 계획이다. 이러한 전략은 공공부문에서의 경쟁력 강화를 목표로 하고 있으며, 더 나아가 지속 가능한 환경 구축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도는 자회사인 이도에코청주가 환경부로부터 ‘순환골재 이물질 선별 기술’에 대한 신기술 인증을 받았다고 18일 발표했다. 이 기술은 순환골재 내의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품질을 높이는 데 기여하며, 또한 밀폐형 공기 순환 시스템을 통해 비산먼지 발생을 억제하는 특징을 갖고 있다. 이러한 기술은 재활용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환경 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어 더욱 주목받고 있다.
뿐만 아니라, 이도에코제주는 ‘균질 파쇄 기반 도로 보조기층용 순환골재 생산 기술’에 대한 신기술 인증도 확보하였다. 이 기술은 상하부 요철판의 압착과 마찰 작용을 활용하여 폐콘크리트를 고품질 순환골재로 분쇄하고, 이를 도로 보조기층에 즉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혁신적인 방식이다. 특히 이 기술은 시간당 120톤의 처리 능력을 자랑하여 제주 지역의 산업폐기물 자원화 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현재 이도는 제주를 포함한 여러 지역에서 산업폐기물의 수집, 운반, 중간 처리, 재활용, 소각, 매립 등 전 과정에 걸친 풀 밸류체인을 구축하고 있으며, 하루 약 14,000톤의 폐기물을 처리하고 있다. 이러한 통합적인 접근은 자원 순환의 효율성을 높이고, 지속 가능한 발전을 도모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이와 함께 이도는 신재생 에너지 사업 확장에도 가속도를 내고 있다. 충남 당진의 염해농지에 70MW급 태양광 프로젝트를 글로벌 투자사와 공동으로 개발 중이며, 인천 옹진에서는 400MW급 해상풍력 사업 및 바이오가스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 이러한 노력은 이도가 클린테크 분야의 선두주자로 자리매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특히 향후 이도는 태양광 및 풍력 기반의 전력 공급에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BESS)과 데이터 센터를 결합한 자급형 AI 인프라 사업으로 확장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안정적인 전력 공급과 함께 미래 성장 동력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할 예정이다.
최정훈 이도 대표는 “산업폐기물 자원화를 촉진하는 고도화 기술을 지속적으로 발굴하고, 차세대 에너지 AI 인프라 구축을 통해 새로운 성장 모델을 창출하겠다”며, “안정적인 수익 기반 위에 지속 가능한 성장 동력을 더해 클린테크 선도기업으로 자리매김하겠다”고 밝혔다. 이러한 비전은 이도가 앞으로 나아갈 방향성과 더불어 지속 가능한 환경을 위한 노력을 강조하고 있다.
[관련기사]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8/0005252176?sid=101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