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인공지능(AI) 분야에서의 투자 트렌드가 변화하고 있다. 과거에는 그래픽처리장치(GPU)에 집중된 투자 경향이 지배적이었지만, 이제는 피지컬 AI, 즉 현실 세계와 상호작용하는 AI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NH아문디자산운용의 최동근 ETF운용팀장은 이러한 변화의 중심에 피지컬 AI가 자리잡고 있으며, 이는 메가 트렌드로 발전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피지컬 AI는 휴머노이드 로봇, 드론, 자율주행차와 같은 하드웨어와 결합하여 현실에서 실질적인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인공지능을 의미한다. 최 팀장은 ‘생성형 AI가 조력자 역할을 한다면, 피지컬 AI는 우리의 일상을 혁신적으로 변화시킬 것’이라며, 앞으로 2030년까지 AI 설비에 대한 투자가 지속적으로 확대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최근의 투자자들이 AI의 학습과 추론 과정에서 발생하는 걸림돌을 극복할 수 있는 기업에 더욱 집중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해 루멘텀홀딩스와 탈렌에너지를 주목할 만한 종목으로 지목했다. 루멘텀홀딩스는 광통신 장비 업체로, 전통적인 구리선 기반 통신보다 빠른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다. 최 팀장은 이 기업이 엔비디아의 GPU 클러스터와 하이퍼스케일러 네트워크 구성에 필수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탈렌에너지는 원자력, 천연가스, 재생에너지 발전 방식으로 전력을 생산하는 전력 인프라 기업이다. AI의 발전으로 전력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이 기업은 아마존과 계약을 체결하여 2042년까지 전력을 공급하기로 했다. 두 회사는 소형모듈원자로(SMR) 개발에도 협력할 예정이다.
미국 반도체 업체인 아스테라랩스와 램버스 또한 주목할 필요가 있다. 아스테라랩스는 클라우드 및 AI 인프라를 위한 반도체 연결 솔루션을 제공하며, 램버스는 고속 메모리 인터페이스 칩과 보안 솔루션을 제공하는 기업으로 최근 분기 매출 증가율이 30%를 초과하는 등 안정적 실적을 보여주고 있다.
최동근 팀장은 앞으로 피지컬 AI 영역에서 휴머노이드와 로봇 분야가 가장 큰 주목을 받을 것이라고 예측했다. 그는 ‘미국과 중국 간 기술 패권 경쟁의 핵심 전장이기도 하다’며, 이 분야의 치열한 경쟁은 계속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또한, 로봇 공급망에서 미국이 중국을 배제하려는 움직임이 있을 경우, 한국 기업들이 반사 이익을 누릴 가능성이 크다고 설명했다. 오픈AI와 협업하는 로보티즈와 엔젤로보틱스 등이 그 예가 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최 팀장은 글로벌 투자처로 금 채굴 기업을 언급하며, 이들에 대한 투자가 변동성은 크지만 상승장에서는 레버리지 효과를 통해 더 큰 수익을 기대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금의 생산 원가는 일정하므로 금 가격 상승 시 채굴 기업들의 이익이 급증할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할 필요가 있다.
최동근 팀장은 2009년부터 운용업계에 종사하며, NH아문디자산운용에 합류한 이후 ‘HANARO 글로벌피지컬AI 액티브’ ETF를 출시했다. 해당 ETF는 출시 후 54.66%의 수익률을 기록하며 비교지수 대비 14.46%포인트 초과 성과를 보였다. 이는 그의 운용 전략이 성공적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관련기사]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5/0005194588?sid=101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