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이 오는 14일로 취임 5주년을 맞이하며, 그의 리더십 아래 현대차그룹은 자동차 산업의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놀라운 성과를 이뤄내고 있다. 정 회장은 2020년 10월 취임 이후, 현대차그룹을 글로벌 톱3에 안착시키며 매년 실적 개선을 이루는 데 주력해왔다. 이러한 성과는 단순한 숫자에 그치지 않고, 조직 문화와 체질 개선에도 큰 변화를 가져왔다.
정 회장의 취임 초기, 글로벌 자동차 시장은 코로나19의 여파로 큰 타격을 입었다. 그러나 그는 발 빠르게 대처하며 공급망의 유연한 운영을 통해 생산 차질을 최소화했고, 자동차 수요 증가에 적시 대응하는 데 성공했다. 현대차그룹은 2022년부터 도요타와 폭스바겐과 함께 세계 시장에서의 3강 체제를 확립하며 매출과 영업이익에서 경이로운 성장을 이뤄냈다. 특히, 현대차와 기아의 합산 매출액은 2019년 163조8924억원에서 지난해 282조6800억원으로 급증하며 그 성과를 입증했다.
정 회장은 조직문화의 변화도 놓치지 않았다. 그는 수평적이고 창의적인 조직 문화를 통해 직원들의 역량을 극대화하고, 이를 통해 무한한 가능성을 현실화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복장 규정을 변경하고, 서로를 믿고 협력하는 환경을 조성하는 등 작은 변화에서부터 시작했다. 이런 변화는 직원들 사이에서 긍정적인 반응을 이끌어내며, 현대차그룹의 혁신적인 상품성과 기술력에도 기여하고 있다.
올해에는 24조3000억원을 투자해 차세대 제품 개발과 신기술 선점, 전동화 및 소프트웨어 중심 차량(SDV)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이러한 노력은 현대차그룹이 지속적 성장세를 이어가고, 미래 성장 동력을 확보하기 위한 전략의 일환이다. 특히, 로보틱스 분야에서도 현대차그룹은 발 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정 회장은 로봇을 현실 속 동반자로 구현하고, 모빌리티의 경계를 확장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2021년 보스턴 다이내믹스를 인수한 것은 이러한 전략의 일환으로, 고객의 이동 경험을 새로운 영역으로 확장해 나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대차그룹이 직면한 과제는 여전히 존재한다. 올해 4월부터 미국에서 부과된 25%의 자동차 관세는 가장 큰 난관 중 하나로, 그룹의 부담이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정 회장은 이러한 위기를 ‘퍼펙트 스톰’에 비유하며, 과거의 위기를 극복했던 경험을 바탕으로 이번에도 반드시 극복할 것이라는 의지를 보였다.
정의선 회장의 리더십 아래 현대차그룹은 앞으로도 혁신과 성장을 지속해 나갈 것이며, 글로벌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한층 더 강화할 것으로 기대된다. 그의 비전과 전략이 현대차그룹을 어떤 방향으로 이끌어 나갈지, 업계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관련기사]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5/0005195739?sid=101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