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가 ‘크리에이터 경제팀’을 신설하고 ‘크리에이터 경제 육성 전략’을 본격적으로 추진하며 지역 경제의 새로운 발전 모델을 제시하고 있다. 제주도는 24일 발표한 바에 따르면 이번 전략에는 핵심 기업 육성, 지역 공동체와의 상생을 도모하는 창작 생태계 조성, 제주다움 콘텐츠 특화, 그리고 통합 지원체계를 통한 정책의 일관성 확보 등 네 가지 주요 실행 전략이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노력은 제주 지역 기반의 콘텐츠가 경쟁력을 갖춘 핵심 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마련되었다. 공개 오디션을 통과한 기업을 대상으로 추진될 ‘강한 제주 크리에이터 육성사업’은 지역의 창의적 자원을 활용하여 글로벌 시장에서도 경쟁할 수 있는 기업을 양성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특히, 제주 크리에이터들이 안정적으로 활동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공유형 창작 및 협업 거점도 마련될 예정이다. 이는 창작 기업이 모여 있는 마을을 지향하며 지역 사회와의 상생을 추구하고 있다.
하반기에는 지원 근거를 명시한 조례의 제정과 함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한 ‘크리에이터 전용 펀드’의 조성도 계획하고 있다. 크리에이터 경제란 개인이 콘텐츠를 생성하고 이를 통해 직접적인 수익을 창출하는 소프트웨어 기반 경제를 의미하며, 최근 유튜브와 인스타그램 등 스마트폰 기반의 1인 미디어 플랫폼이 활성화되고 인공지능(AI) 자동화 도구의 발전으로 인해 더욱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제주 지역에서는 자원과 문화를 바탕으로 한 콘텐츠 및 제품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제주 특산물인 감귤과 고양부 삼성신화(三姓神话)를 모티브로 한 캐릭터 및 상품이 대중에게 큰 인기를 끌고 있다. 제주도는 이러한 지역 크리에이터를 통해 제주를 알리는 동시에, 제주에서 활동하는 크리에이터들이 지역 내에서 고용, 매출, 성장을 이끌어내는 선순환 경제 구조를 구축할 계획이다.
지난 22일 서귀포시 스타트업베이에서는 오영훈 제주도지사와 제주 크리에이터, 원도심 상인, 유관기관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제주 크리에이터 경제 비전·전략 선포식’이 개최되었다. 이 자리에서 오 지사는 “민간 주도로 성장해온 창의경제 생태계를 이제는 행정이 조력자이자 촉진자로서 체계적으로 지원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또한 선포식에서는 도내 30개 크리에이터 업체가 자사 제품을 선보이는 전시관도 운영되어 제주 크리에이터의 다양한 창작물이 대중에게 소개되었다.
한편, 제주도는 지난 7월 한시기구인 새정부경제정책추진단을 출범시키며 전국 최초로 크리에이터 경제팀을 신설하여, 지역 경제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새로운 전환점을 마련하고 있다. 이러한 제주도의 노력은 크리에이터 경제를 통해 지역 자원을 창의적으로 활용하고, 경제적 가치를 창출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으며, 앞으로의 성과가 기대된다.
[관련기사]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5/0001797685?sid=102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