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 R&D 지원 체계 혁신으로 기술사업화 가속화

2026년 중소벤처 R&D 예산이 역대 최대 규모인 2조2000억원으로 확대되며, 중소기업의 기술사업화가 한층 촉진될 전망이다. 중소벤처기업부는 최근 딥테크 혁신기업인 엔도로보틱스에서 발표한 ‘중소벤처 R&D 혁신방안’을 통해, R&D 지원 체계를 전면 개편하고 시장성과 직결되는 ‘돈이 되는 R&D’에 집중 투자하겠다고 밝혔다.

이러한 변화의 일환으로, 민간투자와 연계된 팁스(TIPS) 방식의 R&D 지원이 기존 6412억원에서 1조1064억원으로 72% 증액된다. 지원의 초점이 창업 단계에서 스케일업 및 글로벌 진출로 확대되며, 과제당 지원액도 최대 30억원에서 60억원으로 증가한다. 이는 중소기업들이 기술력을 바탕으로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추도록 돕기 위한 결정적인 조치라 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기업이 협력하여 진행하는 대규모 연구개발을 지원하는 ‘딥테크 챌린지 프로젝트’에는 4년간 최대 200억원이 투자될 예정이다. 이는 혁신적인 기술 개발을 위한 공동 연구의 필요성을 반영한 것으로, 중소기업들이 협업을 통해 시너지를 극대화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중소벤처기업부는 또한 R&D 목표를 고정하지 않고 기술 및 시장 변화에 따라 수정할 수 있는 ‘무빙타겟(Moving Target)’ 방식을 도입하여 유연성을 높인다. 이를 위해 전문 프로젝트 매니저(PM)가 기업의 연구 과정을 밀착 지원하며, 맞춤형 체계도 마련되었다. 이러한 접근은 기업들이 변화하는 환경에 보다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도와줄 것이다.

더 나아가, 공공기술의 사업화를 촉진하기 위해 ‘한국형 STTR’ 제도가 신설된다. 이 제도는 기술 및 시장 검증, R&D, 사업화 패키지 지원 등 3단계로 운영되며, 최대 1억원의 기술 검증 지원과 10억원의 R&D 지원을 통해 공공기술이 기업 성과로 전환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이로 인해 중소기업들은 더욱 다양한 자원을 활용하여 기술 상용화에 나설 수 있을 것이다.

중소기업의 행정부담 또한 크게 줄어들 예정이다. 신청 서류 수가 최대 20종에서 최소 4종으로 감소하고, 챗봇과 AI 기반의 사업계획서 보조 시스템이 도입되어 편의성이 증대된다. 또한, 전문 평가위원 풀을 3만명으로 확대하고, 기업이 평가위원을 검증하는 ‘역평가제도’를 도입하여 평가의 공정성을 강화하는 방안도 마련되었다.

한성숙 중기부 장관은 “R&D 지원은 기업의 혁신성과 생산성을 높이는 동시에 국가 경쟁력을 끌어올리는 최고의 정책”이라며 “시장의 선택을 받는 기술을 집중 지원하기 위해 R&D 체계를 대폭 바꿨다”고 언급하였다. 이같은 변화는 중소기업들에게 실질적인 지원을 제공하며, 기술사업화의 새로운 전환점을 마련할 것으로 기대된다. 정부가 고심한 정책이 현장에서 효과를 발휘하기 위해서는 세밀한 디테일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하며, 현장 의견을 적극적으로 수렴할 것을 당부하였다.

[관련기사]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30/0003354554?sid=101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