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세대 전력망 혁신의 새로운 지평을 여는 K-그리드 인재·창업밸리

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KENTECH·켄텍)는 차세대 전력망 산업의 혁신 거점으로 자리매김하기 위해 ‘K-그리드 인재·창업밸리’ 조성에 본격적으로 나섰습니다. 27일 나주 혁신도시 본교에서 열린 기업 간담회에서는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한자리에 모여 한국형 전력망 혁신을 위한 기술 개발과 인재 양성, 스타트업 육성 방안에 대해 심도 있는 논의를 진행하였습니다.

이번 행사에는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과 하정우 AI미래기획수석, 이원주 기후에너지환경부 에너지전환정책실장 등 산학연 관계자 30여 명이 참석하여, 전력망 산업의 민관 협력을 강화하고 ‘한국형 실리콘밸리’ 조성의 첫걸음을 내딛는 기회를 마련했습니다. 참석자들은 차세대 전력망(K-그리드) 분야에서 인공지능(AI) 기반의 재생에너지 발전량 예측, 가상발전소(VPP) 기술, 전력 수요 관리 및 장주기 에너지 저장장치(ESS) 등 다양한 핵심 기술이 미래 에너지 산업의 경쟁력을 좌우할 것이라는 데 의견을 모았습니다.

특히, 이날 논의에서는 인재 양성과 기술 창업, 연구개발을 통합적으로 지원하는 원스톱 지원체계의 필요성이 강조되었습니다. 이를 통해 규제 완화와 투자 연계를 통해 제도적 뒷받침 방안도 함께 논의되었습니다. 이러한 체계가 구축되면, 차세대 전력망 산업의 발전을 가속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기업 관계자들은 켄텍이 실증 테스트베드 역할을 맡아 기술 검증과 사업화 지원을 주도해 줄 것을 요청했습니다. 켄텍은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광주과학기술원(GIST), 전남대학교 등과 협력하여 한국형 RTP(Research Triangle Park) 모델을 도입하고, 대학, 기업, 연구기관이 자유롭게 연구와 창업을 이어갈 수 있는 ‘오픈캠퍼스형 혁신 플랫폼’을 단계적으로 확장할 계획입니다.

이와 같은 노력은 지역 기반의 에너지 혁신 클러스터를 조성하고, 글로벌 전력망 기술 경쟁력을 더욱 강화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것입니다. 박진호 켄텍 총장직무대행은 “한국에너지공대는 차세대 전력망 혁신을 이끌 인재를 양성하고 기술 기반 창업을 촉진하는 ‘K-그리드 인재·창업밸리’의 중심축”이라고 강조하며, 산학연이 함께 협력해 세계적 에너지 혁신 모델을 만들어가겠다는 의지를 표명했습니다.

이번 간담회는 단순한 기술 개발을 넘어, 전력망 산업의 미래를 밝히는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입니다. 켄텍의 K-그리드 인재·창업밸리는 앞으로 대한민국의 에너지 산업을 선도하는 혁신적인 플랫폼으로 성장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이러한 시도가 성공적으로 이루어진다면, 한국은 글로벌 에너지 시장에서 한 단계 더 도약할 수 있는 기반을 갖추게 될 것입니다.

[관련기사]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3562471?sid=102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