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업 생태계의 순환 구조 회복을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

최근 한국의 스타트업 생태계에서 창업, 성장, 회수, 재도전의 고리가 심각하게 막혀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전화성 초기투자액셀러레이터협회장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국의 벤처 생태계에서 창업자들은 새로운 아이디어로 시장에 진입하고, 초기투자자들은 이들의 성장을 지원하는 역할을 한다. 하지만 이 순환 구조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고 있으며, 특히 투자 회수 단계에서 큰 장애물이 존재하고 있다.

현재 한국의 스타트업 환경은 투자 유치는 이루어지고 있지만 회수 과정이 원활하지 않다. 기술특례상장 제도의 보수화와 기업공개(IPO) 심사의 까다로움, 그리고 인수합병(M&A)의 활성화 부족은 모두 문제의 핵심이다.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TIPS와 같은 매칭 투자 사업은 초기 진입에는 효과적이지만, 출구 전략이 미흡하여 창업자와 투자자 모두에게 부담을 주고 있다. 결국, 회수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후속 투자가 정체되고, 이는 펀드의 조기 청산 압박으로 이어지며 창업자들은 성장의 마지막 퍼즐을 잃게 된다.

더욱이, 창업자들이 실패 후 재도전할 유인이 줄어들고 있는 점도 심각한 문제다. 실패한 창업자에게 두 번째 기회를 주는 문화가 정착되지 않으면서, 성공적인 창업자들조차도 엑싯이 불가능한 현실에서 대기업 이직이나 해외 진출을 선택하게 된다. 이러한 상황은 결국 경험과 자본이 외부로 흘러가게 하여, 한국의 창업 생태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회수 시장의 막힌 원인은 복합적인데, IPO의 문턱이 지나치게 높아져 있으며, M&A의 실효성도 낮아져 있다. 코스닥은 여전히 코스피의 2부 리그로 인식되고 있으며, 기술 기업들은 상장 이후에도 단기 실적 압박에 시달리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해외 거래소로의 본사 이전 현상은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한국 자본 시장의 신뢰 저하와 정책 효과의 한계를 드러내는 중요한 지표로 작용하고 있다.

따라서 지금 한국의 스타트업 생태계가 마주하고 있는 도전 과제는 단순한 제도적 보완이 아니라, 전반적인 순환 구조의 재설계가 필요하다는 점이다. 첫째로, 회수 수단의 다변화가 요구된다. IPO 외에도 M&A에 대한 세제 혜택과 세컨더리 펀드 활성화, 비상장주식 거래 시장의 정비를 통해 다양한 출구 전략이 마련되어야 한다. 둘째로, 상장 문턱을 기술 및 성장 중심으로 재설계하고, 장기 비전을 가진 기업들이 단계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셋째로, 실패 이후 재도전의 제도화가 필요하다. 파산 이력자에 대한 금융 규제 완화와 창업자 신용 회복 절차의 간소화는 필수적이다.

또한, 창업 생태계가 내부적으로 선순환을 이루기 위해서는 액셀러레이터와 민간 엔젤 투자자들의 출구 전략도 보장되어야 한다. 액셀러레이터는 초기 단계의 높은 리스크를 감수하며 생태계를 지탱하는 역할을 수행하지만, 이들이 회수하지 못한다면 장기적 지속 가능성이 위협받게 된다. 민간 투자가 활성화되어야 공공 투자의 진정한 의미가 발생하며, 창업 생태계가 관 주도에서 벗어나 민간 자율 구조로 전환될 수 있는 기회를 창출해야 한다.

결국 ‘창업→성장→회수→재도전’이라는 고리는 단순한 이상이 아니라, 한국의 스타트업 생태계가 건강하게 유지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최소한의 순환 원리라는 점을 인식해야 한다. 전화성 협회장은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정부, 민간, 그리고 창업자들이 함께 협력해서 새로운 패러다임을 만들어 나가야 한다고 강조하며, 창조적이고 혁신적인 접근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4/0005416239?sid=004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