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청년 고용의 어려움이 사회적 문제로 떠오르면서, 대기업들이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모였습니다.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는 25일 여의도 FKI타워에서 삼성, SK, 현대차, LG 등 주요 기업의 최고인사책임자(CHO)를 초청하여 ‘청년 일자리 개선을 위한 주요 그룹 간담회’를 개최했습니다. 이번 간담회는 청년 실업 문제를 해결하고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된 자리입니다.
김창범 한경협 상근부회장은 개회사를 통해 청년 실업이 지속될 경우 인적자본의 경쟁력 및 국가 경제 성장 잠재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는 오늘의 간담회가 청년들의 일자리 개선을 위한 의미 있는 해법을 모색하는 기회가 되기를 바란다고 전했습니다. 이어, 참석한 CHO들은 청년 고용 시장의 현 상황을 깊이 공감하며, 청년들이 느끼는 고용 환경 개선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나누었습니다.
간담회에서 논의된 여러 방안 중 하나는 오랜 기간 구직활동에 실패해 취업 의지가 꺾인 청년들에게 다양한 일 경험 기회를 제공하는 것입니다. 이를 위해 인턴십, 채용 박람회 등의 프로그램을 통해 보다 많은 청년들이 실제로 직무를 경험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제안되었습니다. 또한, 신입 채용 비중을 확대하고 정기 채용을 활성화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의견도 제기되었습니다. 이는 기업들이 청년 고용을 지속적으로 확대할 수 있도록 하는 기반이 될 것입니다.
하지만 현재의 경기 침체로 인해 많은 기업들이 실적 부진을 겪고 있는 상황에서도 청년 고용을 늘리기 위한 기업들의 노력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정부의 지원도 절실하다는 목소리가 나왔습니다. 여러 대기업 CHO들은 청년 고용을 늘리는 기업에 대한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는 데 입을 모았습니다. 이와 같은 지원이 있을 때, 기업들은 더 많은 청년들을 고용할 수 있는 여력을 갖출 수 있을 것입니다.
한경협은 이러한 주요 그룹의 의견을 수렴하여, 기업의 고용 여력을 확충할 수 있는 정책 과제를 정부에 제안하기로 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청년 고용에 대한 세제 지원과 같은 인센티브를 확대하고, 노동 시장의 유연화를 추진하며, 정년 연장 속도를 조절하는 방안이 주요 과제로 제시되었습니다. 이러한 제안들은 지속 가능한 청년 고용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민관의 협력이 필요하다는 데 공감대를 형성하는 계기가 될 것입니다.
결론적으로, 대기업들이 청년 고용 문제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해결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변화의 신호가 감지됩니다. 그러나 이들이 제안한 방안들이 실질적으로 실행되기 위해서는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과 협력이 필수적입니다. 청년들이 희망을 가질 수 있는 일자리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서는 모든 이해관계자들이 함께 노력해야 할 때입니다.
[관련기사]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92/0002391818?sid=105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