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림축산식품부의 김고은 농촌경제과장이 3일 발표한 농촌 청년창업 정책은 농촌 지역에서의 창업 생태계를 조성하기 위한 중요한 이정표가 되고 있다. 그는 청년 창업가들이 농촌에서 자신의 꿈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문화와 교육 등 다양한 인프라가 절실히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정부는 창업 지원과 함께 인프라 개선을 아우르는 통합적인 접근 방식을 통해 성공적인 모델을 구축해 나가겠다는 의지를 내비쳤다.
김 과장은 최근 강원도 횡성과 춘천, 제주도 등지를 방문하며 청년 창업가들과의 소통을 강화하는 데 주력해왔다. 그는 창업을 통해 농촌에 뿌리를 내리려는 청년들에게 어떤 방식으로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을지를 고민하고 있다. 특히, 농촌에서의 창업은 지역 주민들과의 관계를 기반으로 하므로, 청년 창업가들이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이를 위해 중앙 부처 간의 청년 창업 지원 정책 간의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하는 방안도 모색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농식품부는 청년 창업가들이 사업 규모를 확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정책을 올해부터 시행하고 있다. 이번 지원은 성공적인 청년 농촌 사업 사례를 육성하고, 더 발전된 형태의 제품을 개발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한 것이다. 각 업체에 최대 1억 원의 지원금이 제공되며, 현재 선정된 9곳의 농촌 창업 스타트업들은 다양한 창의적 사업 아이템을 바탕으로 지역사회와 함께 성장해 나가고 있다.
김 과장은 특히 강원 영월의 ‘위로약방’과 같은 지역 사회와의 협업이 가능한 창의적인 사업 아이템을 선정했다고 밝혔다. 그는 이러한 사업들이 구체적인 매출이 발생할 수 있도록 철저히 검토되고 있음을 강조했다. 이는 농촌 창업가들이 고립되지 않고, 지역 사회와 함께 성장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중요한 과정이라 할 수 있다.
또한, 농식품부는 청년 창업가들이 서로 정보를 교류할 수 있는 장을 마련하고, ‘농촌혁신 네트워크(커넥트업)’ 1기 사업을 시작했다. 이 사업은 멘토와 멘티를 매칭하여 창업가들이 필요한 노하우를 공유할 수 있도록 돕는다. 멘토로는 경북 칠곡의 ‘므므흐스 버거’와 충북 괴산의 농업회사법인 ‘뭐하농’, 충북 충주의 ‘리플레이스’, 전남 곡성의 ‘팜앤디 협동조합’ 등이 참여해 지역 자원의 창의적인 브랜딩과 로컬 관광 활성화에 기여하고 있다.
농식품부는 매년 50명의 청년 창업가를 선발하고, 그들이 서로의 경험을 나눌 수 있는 공간도 제공할 계획이다. 김 과장은 청년 창업가 네트워크가 안정적으로 구축될 경우, 농촌 정착에 있어 큰 도움이 될 것이라며 이들의 발전을 위해 지속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다짐했다.
이처럼 김고은 과장은 농촌 청년 창업 생태계를 보다 풍요롭게 만들기 위해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이를 통해 농촌 지역의 경제 활성화와 청년들의 안정적인 정착을 도모하고 있다. 앞으로도 농식품부의 지속적인 지원과 창의적인 아이디어로 농촌 창업가들이 성공적으로 자리 잡을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
[관련기사]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8/0005272498?sid=101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