춘천이 바이오 혁신의 중심으로 떠오르다

최근 춘천이 바이오 창업의 중심지로 자리잡으며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다. 1998년 벤처기업육성특별법이 시행된 이후, 한국의 창업 생태계는 눈에 띄게 발전했으나, 여전히 수도권에 집중되는 경향이 강하고 글로벌화의 속도는 느린 편이다. 전문가들은 창업이 경제를 이끄는 원동력이 되기 위해서는 지역 맞춤형 창업 생태계의 구축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한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춘천은 바이오 딥테크 창업의 허브로 부상하고 있다.

2023년 기준으로 춘천의 바이오 기업은 총 1조3915억원의 매출을 기록하며, 고용인원은 3168명에 달한다. 이는 2003년과 비교했을 때 각각 37.1배, 10.5배 성장한 수치로, 춘천의 바이오 산업은 그 성장 가능성을 확실히 보여주고 있다. 춘천은 1998년 국내 최초의 ‘바이오 산업 시범도시’로 지정된 이후 지속적인 산업 기반 확충을 통해 현재 강원도의 창업 생태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현재 춘천에는 236개의 벤처기업이 활동 중이며, 그 중 55.1%는 창업 7년 미만의 초기 기업이다. 강원대학교와 한림대학교의 의과대학, 강원테크노파크, 춘천바이오산업진흥원 등 다양한 기관들이 함께 협력하여 바이오 창업 생태계를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인프라와 협력 네트워크는 강원 지역의 바이오 기업들이 R&D 및 생산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

다만, 춘천이 직면한 과제도 있다. 수도권에 비해 투자금 및 전문 연구 인력 확보에 어려움이 있으며, 창업 지원 기관 간 기능 중복으로 인한 비효율성 문제도 지적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춘천시는 최근 ‘창업혁신협의회’를 출범시켜 민관 협력체계를 강화하고, 창업 기업의 수요를 파악하고 맞춤형 지원을 제공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춘천의 창업 생태계는 바이오·헬스케어 산업에 대한 높은 밀집도와 정책 지원 체계가 강점으로 작용하고 있다. 춘천바이오산업진흥원은 체외진단 및 동물대체시험 기반의 신약 개발, AI 기반의 천연물 신약 개발 플랫폼 구축 등 다양한 연구 인프라를 갖추고 있다. 인근 원주와 강릉의 기관들도 의료기기 및 바이오 소재 연구에 힘쓰며, 서로 협력하여 강원 지역의 바이오 산업을 더욱 발전시키고 있다.

특히, 춘천은 대학 중심의 딥테크 창업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최근 2년 동안 교원 창업의 수와 매출이 두 배 증가하는 성과를 보였으며, 이는 국가의 전략 사업을 통해 대학의 특허가 창업으로 이어지는 선순환 구조가 형성되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기반 위에 내년 상반기에는 캠퍼스 혁신 파크와 기업 혁신 파크가 준공될 예정이다. 이는 창업 기업의 공간 문제를 해결하고, 더 많은 기업 유치를 가능하게 할 것으로 기대된다.

춘천은 교통 접근성 또한 강점으로, ITX로 서울까지 1시간 10분, 고속도로를 이용할 경우 1시간 이내에 도달할 수 있어 청년 및 전문 인력 유치에 유리한 환경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여전히 청년 인재의 정주 여건은 개선이 필요하다.

박순홍 강원지방중소벤처기업청장은 청년들이 지역에 머물 수 있도록 정착 인센티브와 창업 교육 프로그램을 강화하고 있다고 밝혔다. 춘천이 가진 다양한 기관과 자원을 연결하여 강원 전역을 바이오, 푸드, 디지털 기반의 창업지대로 발전시키겠다는 비전을 제시하고 있다.

춘천의 바이오 산업은 이제 막 시작되었지만, 그 잠재력은 무궁무진하다. 지역의 다양한 기관과 기업들이 협력하여 창업 생태계를 더욱 발전시키고,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바이오 창업 도시로 자리매김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관련기사]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8/0005261443?sid=101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