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시큐업&해커톤이 23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성대하게 열렸다. 이 행사에서는 라온시큐어가 한국디지털인증협회와 함께 웹3(탈중앙화 네트워크)의 비전을 공유하며, 블록체인 기반의 디지털 신원인증(DID) 기술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라온시큐어의 이순형 대표는 ‘데이터 소유자는 중간 매개자 없이도 자신의 권한을 행사하고 보상을 받아야 한다’고 강조하며, 이러한 신념이 웹3의 핵심 가치로 자리 잡고 있음을 밝혔다.
김태진 라온시큐어 최고기술책임자(CTO)는 기존 웹2.0 모델이 사용자 데이터를 플랫폼에 종속시키는 구조였음을 지적하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웹3 모델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웹3는 신뢰할 수 있는 주체 간의 중개 없이 스마트 거래를 통해 개인 데이터를 스스로 통제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김 CTO는 웹3의 핵심 가치를 자율화, 신뢰, 투명성, 참여로 인한 보상으로 정의하며, 이를 실현하기 위한 기술로 블록체인과 DID가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라온시큐어는 블록체인 기술을 통해 중개자 없이 스마트 거래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데이터 소유자는 DID를 통해 시스템에 연결되어 신뢰할 수 있는 권한을 지니게 된다. 그러나 중개자가 없는 환경에서 합리적 의사결정이 어려워질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되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AI 에이전트를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김 CTO는 AI 에이전트에도 DID를 부여하여 사용자에게 권한을 위임할 수 있도록 하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러한 웹3 모델은 데이터 소유자를 중심으로 모든 것이 작동하게 된다. 개인 데이터가 자산으로 여겨지면서 이를 관리하는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이 가능해진다는 전망도 나왔다. 라온시큐어는 지난해 오픈소스 플랫폼인 ‘옴니원’을 깃허브에 공개하여 글로벌 참여를 유도하고 있으며, 특히 신원증명 체계가 열악한 제3세계 국가들이 웹3 기반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일본과 코스타리카 등 디지털 전환(DX)에 관심이 많은 국가들과의 협력 사례도 현장에서 소개되었다.
라온시큐어는 이날 종합 보안 솔루션 회사로서의 로드맵도 발표했다. 이순형 대표는 ‘제로트러스트 모델’을 통해 서버 간의 이상 통신을 탐지하고 보안성을 강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신속 온라인 인증(FIDO) 기반 생체인증, 양자내성암호(PQC), 영지식증명(ZKP), DID 등을 활용한 다중인증 기반의 신뢰 프레임워크를 통해 제로트러스트 시장을 선도하겠다’고 덧붙였다.
웹3 시대의 도래와 함께 데이터의 권한 행사 방식이 혁신적으로 변화하고 있다. 라온시큐어는 이러한 변화의 선두주자로서, 블록체인과 DID 기술을 통해 사용자에게 데이터 소유의 주권을 부여하고, AI 에이전트를 통한 합리적 의사결정 체계를 구축함으로써 디지털 생태계의 패러다임을 전환하고자 한다. 이로 인해 개인의 데이터가 단순한 정보에서 자산으로 재편되는 계기가 마련될 것으로 기대된다.
[관련기사]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8503803?sid=105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