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의 가족이 최근 출시한 가상화폐를 통해 약 50억 달러, 즉 한화로 약 7조 원에 달하는 평가차익을 기록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보도했습니다. 이들은 ‘월드 리버티 파이낸셜’이라는 암호화폐 기업을 설립하고, 1일 자체 발행한 WLFI 토큰을 거래소에 상장했습니다. 이는 사실상 기업공개(IPO)와 유사한 성격을 띠며, 그동안 비공식적으로 거래되던 토큰이 이제 공개 시장에서 거래될 수 있게 되었습니다.
WLFI 토큰은 거래 시작 직후 한때 30센트까지 상승했으나, 이후 20센트 안팎에서 거래되고 있습니다. 거래 시작 한 시간 만에 약 10억 달러 규모의 거래가 이루어질 정도로 투자자들의 큰 관심을 끌었습니다. 트럼프 일가는 전체 WLFI의 약 25%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최대 60억 달러의 평가액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이는 그들이 수십 년간 유지해온 부동산 포트폴리오를 초월하는 규모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대선 캠페인 과정에서 월드 리버티의 설립을 주도하며, “이번에는 암호화폐로 미국을 다시 위대하게 만들겠다”라고 강조한 바 있습니다. 그의 세 아들은 WLFI의 공동 창업자로 참여하고 있으며, 트럼프 대통령은 명예 공동 창업자로 이름을 올리고 있습니다.
하지만 WSJ은 이번 토큰 상장이 트럼프 일가의 최대 재정적 성과로 평가받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러 논란이 제기되고 있다고 보도했습니다. WLFI의 발행 과정에서 월드 리버티는 상장사 인수를 통해 7억5000만 달러를 조달했으며, 이 과정에서 자산을 매입·매각하는 순환 거래 구조가 동원되어 트럼프 측에 최대 5억 달러의 이익이 돌아갔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또한 WLFI가 정치적 영향력을 확대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특히 월드 리버티가 발행한 달러 연동 스테이블코인 USD1의 주요 수요처가 바이낸스와 연결되어 있다는 점이 논란을 더욱 부각시키고 있습니다. 바이낸스의 창업자는 현재 유죄 판결을 받고 있으며, 트럼프 대통령의 사면을 기대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에 대해 백악관은 “트럼프 대통령과 가족은 이해 충돌에 연루된 적이 없다”라고 반박했습니다. 이러한 상황은 트럼프 일가의 재정적 성과와 정치적 이해관계가 얽혀 있는 복잡한 양상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참조기사]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9/0005551661?sid=105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