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3일(현지시간) 세계 최대 가상자산 거래소인 바이낸스의 설립자 자오창펑을 사면하는 전격적인 결정을 내렸다. 이로 인해 바이낸스와 연계된 BNB 코인은 5%대의 급등세를 기록하며 시장의 주목을 받았다. 이번 사면은 트럼프 대통령이 기자들과의 만남에서 자오가 ‘바이든 정부에서 탄압을 받았다’고 주장한 것을 언급하며, ‘많은 사람들이 그가 잘못한 것이 없다고 말한다’고 전하면서 이루어졌다. 이는 트럼프가 자오 사면을 결정한 배경을 드러내는 중요한 발언이었다.
자오창펑은 X(옛 트위터)를 통해 이번 사면에 대해 깊은 감사를 표하며, ‘트럼프 대통령이 공정, 혁신, 정의에 대한 미국의 약속을 지켜준 것에 대해 감사하다’고 밝혔다. 그는 또한 ‘미국을 가상자산 수도로 만드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덧붙이며 향후의 비전을 제시했다.
뉴욕타임스(NYT)는 이번 사면이 미국 정부가 그동안 추진해온 가상자산 범죄 단속 중 가장 중요한 조치가 사실상 해제됐다는 점을 강조했다. 캐롤라인 리빗 백악관 대변인은 브리핑을 통해 ‘바이든 시대의 가상자산과의 전쟁은 끝났다’고 선언하며, 정부의 정책 변화가 있음을 시사했다.
자오창펑은 2017년 바이낸스를 설립하여 세계 최대의 가상자산 거래소로 성장시켰으나, 2023년에는 미국에서 자금세탁 방지 조치를 충분히 이행하지 않은 혐의로 여러 소송에 직면해 결국 유죄를 인정하고 4개월의 징역형을 선고받았다. 바이낸스는 미국 정부에 43억 달러(약 6조 원)의 합의금을 지불한 바 있다. 자오는 지난해 9월 징역형을 마치고 출소하였으며, 이번 사면은 그의 명예 회복과 바이낸스의 미국 시장 재진출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 대통령은 재임 중 가상자산 친화적인 행보를 지속하고 있으며, 이전에도 비트코인으로 마약이나 총기 거래가 이루어졌던 암거래 사이트 ‘실크로드’의 창립자 로스 울브리히트와 가상자산 거래소 비트멕스의 공동 창립자들을 사면한 바 있다. 이러한 행보는 트럼프가 가상자산 산업과의 관계를 더욱 강화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그러나 자오 사면을 두고 부정 거래 논란도 제기되고 있다. 바이낸스가 트럼프 일가가 운영하는 가상자산 사업인 월드리버티파이낸셜(WLF)의 주요 후원자 역할을 해왔다는 점에서 비판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바이낸스는 WLF의 달러 연동 스테이블코인인 USD1의 기술적인 기초를 제공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는 아랍에미리트 국부펀드 MGX가 바이낸스 지분을 인수하는 20억 달러 규모의 거래에서 사용되며 트럼프 일가에 상당한 수익을 안긴 것으로 전해진다. 이에 대해 리빗 대변인은 자오의 사면이 백악관 변호사들에 의해 철저히 검토되었으며, 부정 거래 주장을 일축했다.
이번 사면은 가상자산 시장에 큰 파장을 일으킬 것으로 예상되며, 자오창펑의 향후 행보와 바이낸스의 미국 내 활동이 주목받고 있다. 이는 가상자산의 미래와 미국 내 정책 변화에 있어 중요한 전환점이 될 가능성이 크다.
[관련기사]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8/0005267698?sid=104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