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켄텍)가 차세대 전력망 혁신의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K-그리드 인재·창업밸리’ 조성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27일 나주 혁신도시에 위치한 본교에서 열린 기업 간담회에서는 정부와 기업, 연구기관 간의 협력을 통한 전력망 산업의 미래를 모색하는 장이 마련되었다. 이 자리에는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 하정우 AI미래기획수석, 이원주 기후에너지환경부 에너지전환정책실장 등 30여 명의 주요 인사가 참석해 차세대 전력망 기술 개발 및 인재 양성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번 간담회는 한국형 실리콘밸리 조성을 위한 첫걸음으로 평가받으며, 참석자들은 인공지능(AI) 기반 재생에너지 발전량 예측, 가상발전소(VPP) 기술, 에너지 수요 관리, 장주기 에너지저장장치(ESS)와 같은 핵심 기술들이 미래 에너지 산업의 경쟁력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데 의견을 모았다. 이들은 또한 인재 양성과 기술 창업, 연구 개발을 통합적으로 지원하는 원스톱 시스템 구축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규제 완화와 투자 연계 등 제도적 지원 방안에 대해서도 심도 깊은 논의를 진행하였다.
켄텍은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광주과학기술원(GIST), 전남대학교와 협력하여 한국형 연구 삼각지대(RTP) 모델을 도입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대학, 기업, 연구기관이 자유롭게 연구와 창업을 이어갈 수 있는 오픈캠퍼스형 혁신 플랫폼을 단계적으로 확장할 예정이다. 이러한 플랫폼은 지역 기반의 에너지 혁신 클러스터를 조성하고, 글로벌 전력망 기술 경쟁력을 강화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박진호 켄텍 총장직무대행은 “한국에너지공대는 차세대 전력망 혁신을 이끌 인재를 양성하고, 기술 기반 창업을 촉진하는 K-그리드 인재·창업밸리의 중심축 역할을 할 것”이라고 밝히며, “산학연이 함께 협력하여 세계적인 에너지 혁신 모델을 만들어 가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이러한 비전은 한국 에너지 분야의 미래를 밝히고,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혁신의 길을 열어줄 것으로 기대된다.
결국, 켄텍의 K-그리드 인재·창업밸리 조성 사업은 단순히 기술 개발에 그치지 않고, 국내외 기업과 연구기관 간의 협력을 강화하여 에너지 산업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이끄는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이는 한국이 전 세계 에너지 시장에서 경쟁력을 유지하고, 혁신적인 기술을 바탕으로 미래를 선도하는 국가로 자리매김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노력은 단순한 산업 발전을 넘어, 지역 사회와 국가 전체의 에너지 정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며, 지속 가능한 에너지 미래를 위한 토대를 마련하는 데 중대한 기여를 할 것이다.
[관련기사]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3562471?sid=102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