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금융의 미래를 연 스테이블코인과 디지털 자산의 혁신

2023년 10월 26일,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는 ‘디지털 자산 리더십 포럼’이 열렸다. 이 포럼은 김병기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가 주최하며, 글로벌 웹3 산업 관계자들이 참석하여 스테이블코인과 자산 토큰화가 한국 금융 산업에 미칠 영향에 대해 심도 있는 논의를 진행하였다.

김병기 원내대표는 개회사를 통해 디지털 자산의 변화가 현실로 다가왔음을 강조하며, 스테이블코인의 중요성을 재확인했다. 그는 안전하고 투명한 규제 프레임워크의 필요성을 언급하며, 한국이 디지털 자산의 선도 국가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모든 이해관계자가 힘을 모아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김 의원은 투자자 보호와 균형 잡힌 정책을 통해 대한민국의 새로운 도약에 기여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이날 포럼에서는 다양한 전문가들이 등장하여, 스테이블코인과 블록체인 기술이 한국의 금융 생태계에 어떻게 융합될 수 있는지를 논의하였다. 라이언 드 수자 오프체인랩스 아시아·태평양 총괄은 한국이 기술과 금융 부문에서 강점을 가지고 있으며, 디지털 인프라의 차세대 구축을 선도할 수 있는 기회를 보유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한국이 디파이와 전통 금융을 연결하는 교량 역할을 할 수 있음을 강조하였다.

또한 알렉스 쉬우 크라켄 부사장은 글로벌 결제 시장의 중심축이 아시아로 이동하고 있다고 언급하며, 정책적 명확성과 업계의 성숙한 운영 원칙이 결합된다면 암호화폐가 제도화된 산업으로 성장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이러한 의견들은 스테이블코인과 토큰화가 한국 금융의 미래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는 공통된 신념으로 이어졌다.

포럼의 패널 토론에서는 웹3 전문가들이 디지털 금융의 진화 방향과 한국의 전략적 과제를 제시하였다. 주앙 레지나토 M0 최고전략책임자는 블록체인의 혁신적인 측면을 강조하며, 자산이 블록체인 기술 위에서 발행될 때, 새로운 비즈니스와 제품이 등장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샘 카제미안 스테이블 최고기술책임자는 스테이블코인이 금융 생태계에서 실질적으로 이동할 수 있어야 한다고 강조하며, 한국이 원화의 디지털화를 신속히 추진한다면 21세기 디지털 경제의 핵심 리더가 될 수 있다고 제안했다.

디지털 자산의 미래에 대한 논의는 스테이블코인 채택의 성공 요인으로 이어졌다. 필립 젠트너 라이파이 창업자는 스테이블코인의 배포와 사용성이 핵심이라고 강조하며, 대출과 차입 가능성을 높이는 렌딩 시스템의 필요성을 역설하였다. 이를 통해 스테이블코인이 최종 사용자의 관점에서 출발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다양한 활용이 가능한 생태계 구축을 촉구하였다.

존 케이힐 갤럭시 디지털 최고운영책임자는 스테이블코인이 경제 강화와 글로벌 연계의 핵심 수단이 될 것이라고 전망하였다. 그는 외부 자금이 자유롭게 들어올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고 말하며, 자국 스테이블코인이 그 수단이 되어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이종섭 서울대학교 경영학과 교수는 스테이블코인을 단순한 업계 진흥책이 아니라 금융시장과의 연계를 고려한 진지한 접근이 필요하다고 지적하였다.

결국 이번 포럼은 스테이블코인과 디지털 자산이 한국 금융의 미래를 좌우할 중요한 요소가 될 것이라는 메시지를 명확히 전달하며, 한국이 글로벌 디지털 경제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할 수 있는 기회를 포착해야 한다는 다짐으로 마무리되었다.

[관련기사]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5/0005190693?sid=101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