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스타트업 생태계는 현재 창업, 성장, 회수, 재도전의 복잡한 고리에 놓여 있습니다. 전화성 초기투자액셀러레이터협회장이 언급한 바와 같이, 이 생태계의 핵심은 선순환 구조에 있습니다. 창업자가 혁신적인 아이디어로 시장에 진입하고, 초기투자가 이를 지원하여 제품화와 사업 확장이 이루어지는 과정은 자연스럽고도 필수적입니다. 그러나 지금 우리는 회수라는 지점에서 심각한 문제에 직면해 있습니다.
현재 한국의 스타트업 생태계는 투자는 이루어지고 있지만, 회수는 이뤄지지 않고 있습니다. 기술특례상장은 점점 보수화되고 있고, 기업공개(IPO) 심사는 더욱 까다로워졌습니다. 인수합병(M&A)은 기업 간의 간극과 규제 리스크로 인해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습니다. 정부의 TIPS 같은 매칭 투자사업은 창업자들에게 진입의 기회를 제공하지만, 출구 전략에서는 여전히 미비한 상태입니다. 이로 인해 회수가 되지 않으면 후속 투자가 정체되고, 펀드는 조기 청산 압박을 받게 됩니다. 창업자들은 마지막 퍼즐 조각을 찾지 못해 고민하며, 투자자들은 리스크만 안고 다음 투자를 주저하게 됩니다.
특히 주목할 점은 창업자들이 재도전할 유인이 점점 사라지고 있다는 것입니다. 실패한 창업자에게 두 번째 기회를 주는 문화가 자리 잡지 못했고, 성공한 창업자조차 엑싯이 불가능한 현실에서 다시 도전하기보다 대기업 이직이나 해외 진출로 선택하게 됩니다. 이러한 현상은 생태계 내부에서 경험과 자본이 재투입되지 않고 외부로 흘러가는 결과를 초래합니다. 결국 이는 창업 자체의 매력을 떨어뜨리는 구조적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회수 시장의 정체는 다양한 원인으로 설명될 수 있습니다. IPO의 문턱이 지나치게 높아져 있고, M&A는 실효성이 떨어지는 상황입니다. 코스닥이 여전히 코스피의 2부 리그로 인식되고 있는 가운데, 기술기업들은 상장 이후에도 단기 실적 압박에 시달리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해외 거래소로의 플립이 증가하고, 유망 스타트업들은 국내보다는 해외에서 성장하고 있습니다. 이는 한국 자본시장의 신뢰 저하와 정책 효과의 한계를 동시에 드러내는 사례입니다.
따라서 현재 필요한 것은 단순한 제도 보완이 아닙니다. 순환구조 전반의 재설계가 요구됩니다. 첫 번째로, 회수 수단의 다변화가 필수적입니다. IPO 외에도 M&A에 대한 세제 혜택과 세컨더리 펀드 활성화, 비상장주식 거래 시장의 정비 등을 통해 다양한 출구 전략을 마련해야 합니다. 두 번째로, 상장 문턱을 기술 및 성장 중심으로 재설계하고, 장기 비전을 가진 기업들이 단계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해야 합니다. 세 번째로, 실패 이후의 재도전도 제도화할 필요가 있습니다. 파산 이력자에 대한 금융 규제를 완화하고 창업자 신용 회복 절차를 간소화하는 과정은 필수적입니다.
또한, 창업 생태계가 내부적으로 선순환을 일으킬 수 있도록 액셀러레이터와 민간 엔젤 투자자들의 출구 전략도 보장되어야 합니다. 액셀러레이터는 고위험 초기 단계에서 생태계를 지탱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그러나 이들이 회수하지 못한다면 생태계의 장기적 지속 가능성은 위협받을 수밖에 없습니다. 민간 투자가 활성화되어야 공공 투자도 의미를 가질 수 있으며, 창업 생태계는 관 주도에서 벗어나 민간 자율 구조로 전환될 수 있는 기회를 가질 것입니다.
결국 ‘창업→성장→회수→재도전’이라는 고리는 단지 이상적인 구조가 아닙니다. 그것은 살아 있는 생태계가 갖춰야 할 최소한의 순환 원리입니다. 이를 통해 한국의 스타트업 생태계가 더욱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관심과 노력이 필요합니다.
[관련기사]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4/0005416239?sid=004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