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11월 3일, 기술보증기금(기보)과 중소기업은행(기업은행)은 혁신 창업 기업에 대한 투자 연계 자금 지원을 확대하기 위한 금융 지원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벤처 투자 생태계의 활성화를 목표로 하며, 특히 유망 창업 기업이 기술 개발과 사업화에 필요한 자금을 확보할 수 있도록 돕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기술보증기금은 기업은행의 특별 출연금 50억원을 재원으로 활용하여 최대 1000억원 규모의 특별 출연 협약 보증을 제공하기로 결정했다. 이와 함께, 3년간 보증 비율을 상향 조정하여 85%에서 100%로 늘리는 혜택을 제공한다. 이는 스타트업들이 자금을 확보하는 데 있어 보다 유리한 조건을 마련해 줄 것으로 기대된다.
더불어 기업은행은 이 협약을 통해 최대 1.5%포인트의 대출 금리 우대 서비스를 마련하여, 창업 기업들이 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자금을 조달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이러한 조치는 특히 자금 조달이 어려운 초기 단계의 스타트업에게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지원 대상은 기보의 기술 보증 요건을 충족하는 신기술 사업자 중에서 벤처 투자 기관으로부터 5억원 이상의 투자를 유치한 창업 7년 이내의 비상장 중소기업으로 제한된다. 또한, 최근 2년 이내에 20억원 이상의 투자 유치와 기술 사업 평가에서 BB등급 이상의 조건도 충족해야 한다. 이러한 조건들은 자금 지원의 효율성을 높이고, 진정으로 혁신적인 기업들이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장치이다.
김종호 기보 이사장은 이번 협약의 의미에 대해 “이번 협약으로 투자를 유지한 혁신 스타트업이 데스밸리를 극복하고 적기에 유동성을 확보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됐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한 “앞으로도 유관 기관과의 협업을 확대하여 기술 창업 기업의 금융 애로를 해소하고, 스타트업이 안정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생태계 조성에 앞장서겠다”고 덧붙였다.
이번 협약은 한국의 스타트업 생태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창업 기업들이 자금을 확보하는 과정에서 겪는 어려움이 줄어들고, 기술 개발과 사업화에 보다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는 결국 혁신적 기술과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한 스타트업들이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출 수 있는 발판이 될 것이다.
결국, 기술보증기금과 기업은행의 이번 협약은 혁신 스타트업들에게 필요한 자금을 지원하고, 그들이 시장에서 성장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한국의 경제 전반에 긍정적인 변화를 이끌어낼 수 있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다.
[관련기사]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3577998?sid=101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