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전 세계 전자상거래 시장은 혁신적 변화의 물결 속에서 새로운 전환점을 맞이하고 있다. 아마존과 알리바바가 글로벌 유통 시장을 지배하던 시절을 지나, 이제는 테무가 그 중심에 서며 기존의 질서를 흔들고 있다. 테무는 2024년 시가총액 1조8000억 달러를 돌파하며 알리바바를 제치고, 아마존 및 월마트와 정면으로 경쟁을 벌이고 있다. 단순한 저가 쇼핑 앱으로 시작한 테무는 이제 세계 경제의 흐름을 좌우하는 주요 플레이어로 부상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의 배경에는 테무 창립자 황정의 독창적인 사업 철학이 있다.
황정은 1980년 중국의 항저우 외곽에서 태어났다. 그의 부모는 제조업에 종사하는 평범한 노동자였고, 황정은 특별한 교육 기회를 갖지 못했다. 그러나 그는 뛰어난 수학적 재능을 바탕으로 국제수학올림피아드에서 수상하며 두각을 나타냈고, 중국의 명문 항저우 저장대에서 컴퓨터공학을 전공한 후 미국 위스콘신대에서 석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황정의 어린 시절은 그에게 근면과 실용, 생존의 중요성을 체득하게 했고, 이는 그의 모든 사업 철학의 기초가 되었다.
그의 인생에서 중요한 전환점은 2004년 구글에 입사한 것이었다. 황정은 특히 2006년 구글의 중국 진출 프로젝트에 참여했지만, 이 프로젝트는 실패로 돌아갔다. 이 경험을 통해 그는 기술만으로는 시장을 지배할 수 없으며, 기술은 반드시 사회적 맥락 속에서 작동해야 한다는 교훈을 얻었다. 이는 훗날 그의 기업가 정신을 형성하는 중요한 요소가 되었다.
2015년, 황정은 핀둬둬를 창립하게 된다. 핀둬둬는 위챗과 결합한 공동구매 모델을 통해 ‘사람이 모일수록 가격이 내려간다’는 단순한 원리를 바탕으로 급속히 성장하였다. 이 모델은 농촌과 저소득층을 전자상거래의 무대로 끌어들였으며, 단순히 물건을 파는 장터를 넘어 소외된 다수가 경제적 주체로 자리잡을 수 있는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하였다. 핀둬둬는 불과 3년 만에 나스닥에 상장되었고, 2020년에는 알리바바의 가입자 수를 초과하기에 이른다.
2022년, 황정은 테무를 출범시키며 ‘억만장자처럼 쇼핑하라’는 슬로건을 내걸었다. 아마존이 물류 시스템을, 월마트가 오프라인 기반을 통해 시장을 지배하는 상황에서, 테무는 가격을 무기로 삼아 소비자들의 마음을 사로잡았다. 이는 단순히 할인 전략이 아니라, 소비자들에게 ‘나도 세계 경제의 중심에 설 수 있다’는 경험을 제공하는 사회적 메시지로 작용하였다.
하지만 초고속 성장에는 항상 그늘이 존재하기 마련이다. 테무는 내부적으로 과로사와 조직문화 문제로 위기를 겪었고, 외부적으로는 중국 정부의 기술 산업 규제가 강화되면서 어려움을 겪었다. 급기야 하루 만에 주가가 28% 폭락하며 황정의 재산이 수십 조원 감소하는 사태가 발생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황정은 41세라는 젊은 나이에 CEO 자리에서 물러나게 되었다.
그러나 그의 도전은 여기서 멈추지 않았다. 황정은 농업과 생명과학 분야로의 진출을 고려하고 있으며, 이는 인류 보편의 과제인 먹거리와 건강으로 다시 초점을 맞추는 것이다. 넓은 국토와 많은 인구를 가진 중국에서 농업은 단순한 산업을 넘어 문명의 기반으로 여겨진다. 그는 빈곤한 어린 시절의 기억을 떠올리며, 스마트 농업과 생명과학을 차세대 발전 전략으로 삼았다. “플랫폼은 신선한 과일을 더 멀리, 더 저렴하게 전달해야 한다”는 그의 철학은 농촌과 농민을 다시금 무대의 중심으로 끌어올리고 있다.
테무를 단순히 저가 쇼핑 앱으로 평가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테무는 불평등한 세계에서 소비의 평등을 실험하는 구조이자, 기술이 사회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방법을 보여주는 혁신적인 장치이기도 하다. 마윈이 “모든 사람이 비즈니스를 할 수 있다”고 강조한 것과 달리, 황정은 “모든 사람이 소비의 주체가 될 수 있다”고 주장하며 소비 민주화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단순한 가격 파괴를 넘어, 누구나 시장의 주체자로서 중심에 설 수 있어야 한다”는 그의 철학은 그 자체로 소비 민주화의 본질을 담고 있다.
황정의 미래 비전은 “기술은 누구를 위한 것인가?”라는 질문에 담겨 있다. 그는 효율과 속도의 무한 경쟁을 넘어, 기술이 다수의 삶에 어떤 변화를 가져올 수 있을지를 깊이 고민하고 있다. 이러한 근본적인 사유는 황정의 정신세계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앞으로 그의 도전이 어떤 방향으로 나아갈지 귀추가 주목된다.
[관련기사]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5/0005190366?sid=101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