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오는 2027년부터 모든 국내 국제 항공편에 친환경 항공유인 지속가능항공유(SAF)의 사용을 의무화하기로 결정했다. 이는 항공산업의 탄소 배출을 효과적으로 줄이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정유업계에 막대한 변화와 도전 과제를 안기고 있다. 지속가능항공유는 기존 항공유보다 탄소 배출량을 최대 80%까지 줄일 수 있는 혁신적인 연료로, 이미 에쓰오일을 비롯한 여러 정유사에서 생산이 시작됐다.
2027년에는 모든 국제 항공편에 SAF를 최소 1% 혼합하여 사용해야 하며, 이는 2030년에는 3~5%, 2035년에는 7~10%로 확대될 계획이다. 이러한 변화는 정유업계에 SAF 생산을 위한 기술 고도화와 전용 생산라인 구축을 가속화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에쓰오일은 지난해 국내 최초로 SAF 생산 체계를 갖춘 후, 증가하는 국내외 수요에 대비한 전용 생산시설 건설을 검토하고 있다. 또한 SK에너지는 SAF의 상업 생산을 시작하며, 모회사인 SK이노베이션과 협력하여 SAF 고도화를 위한 연구개발을 적극적으로 진행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변화에는 시장의 불확실성과 정유업계의 적자 경영이라는 어려움이 도사리고 있다. SAF 전용 설비 구축에 필요한 비용은 약 1조 원으로 추산되며, 이는 많은 정유사들이 선뜻 투자하기 힘든 금액이다. 대한석유협회는 SAF의 생산 촉진을 위한 세제 지원 등이 필요하다고 강조하며, 업계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해 다양한 지원책이 마련되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정부는 SAF 연구개발과 시설 투자에 대한 세액 공제 지원을 검토 중이며, 이를 통해 정유업계의 부담을 덜어줄 방침이다. 그러나 이러한 지원이 실제로 실효성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국회에서 논의 중인 다양한 정책들이 조속히 결정되어야 할 것이다. 에너지 전환과 환경 보호라는 시대적 흐름 속에서 정유업계가 어떻게 대응해 나갈지가 주목된다.
[관련기사]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56/0012042998?sid=101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