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최대 스테이블코인 발행사인 테더홀딩스가 최대 5000억달러, 즉 약 700조원의 기업가치를 목표로 자금 조달을 추진하고 있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이 거래가 성사된다면 테더는 오픈AI와 스페이스X와 같은 비상장 기업들과 어깨를 나란히 하게 되어, 세계 최대 비상장 기업 대열에 합류할 예정이다. 블룸버그통신은 복수의 소식통을 인용하여, 테더가 전체 지분의 약 3%를 대상으로 하는 사모 발행으로 150억에서 200억달러, 즉 21조에서 28조원의 자금을 조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러한 자금 조달은 경쟁이 심화되고 미국 금리가 하락하면서 이자 수익이 감소할 우려가 있는 상황에서 이례적인 성과로 평가된다.
그러나 소식통에 따르면, 실제 조달 규모는 목표치의 상단 범위보다 낮을 수 있다는 우려도 존재한다. 협상은 현재 초기 단계에 있으며, 세부 조건은 변동될 가능성이 있다. 비상장 주식 거래 플랫폼 포지글로벌에 따르면, 현재 스페이스X와 오픈AI의 기업가치는 각각 4556억달러와 3246억달러로 비상장 기업 중 가장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특히 오픈AI는 기업가치 5000억달러에 전·현직 직원들의 일부 구주를 매각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테더의 이번 거래는 기존 투자자의 지분 매각이 아닌 신규 주식 발행을 통해 자금을 조달할 계획이며, 미국 투자은행 캔터피츠제럴드가 이 거래의 대표 자문사로 참여할 예정이다. 최근 몇 주 동안 잠재적 투자자들은 신규 자금 조달 참여 여부를 검토해 왔으며, 이번 거래는 연말까지 마무리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테더의 전략 고문이자 새로운 스테이블코인 USAT의 책임자인 보 하인스는 서울에서 열린 한 콘퍼런스에서 자금 조달 계획은 없다고 밝혀 이목을 끌고 있다.
테더는 자금 대부분을 미국 국채와 같은 현금성 자산에 투자해 이자를 받으며 막대한 이익을 창출하고 있다. 2023년 2분기 기준으로 테더의 순이익은 49억달러에 달하며, 미국 국채 보유 규모는 1270억달러로, 한국을 제치고 세계 18위를 기록하고 있다. 현재 테더의 스테이블코인 USDT의 시가총액은 약 1728억달러로, 이는 경쟁업체인 서클인터넷그룹의 스테이블코인 USDC(740억달러)보다 두 배 이상 높은 수치이다. 서클인터넷그룹의 시가총액은 23일 종가 기준으로 301억달러에 달한다.
한편, 테더는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전까지 미국 시장에서 큰 활동을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최근 미국 규제에 맞춘 스테이블코인 ‘USAT’ 출시 계획을 발표하였으며, 전 미식축구 선수이자 백악관 디지털 자산 자문위원회 책임자인 하인스를 USAT 책임자로 영입하여 트럼프 대통령의 가상자산 정책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이러한 일련의 움직임은 테더가 시장에서의 입지를 더욱 확고히 하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관련기사]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8/0005255228?sid=101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