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잉코리아가 한국과의 협력을 통해 방산기술 분야에서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를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24일 서울 중구 롯데호텔 서울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윌 셰이퍼 보잉코리아 사장은 한국을 항공우주 산업의 핵심 파트너로 지목하며, 보잉의 비즈니스 성장 전략을 발표했다.
셰이퍼 사장은 한국의 항공우주 산업이 혁신적인 성장과 첨단 제조 기술, 뛰어난 기술 인력을 자랑한다며, 보잉이 한국과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항공우주 산업의 미래를 함께 만들겠다는 의지를 나타냈다. 보잉과 한국의 관계는 1950년 대한국민항공이 보잉 DC-3 항공기를 도입하면서 시작되었으며, 이는 한국 상업 항공의 기반을 다지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또한, 한국 공군이 F-51D 머스탱 전투기를 통해 첫 전투 임무를 수행했던 해는 한미 군사 협력의 새로운 장을 여는 사건이기도 했다.
민항 부문에서도 보잉은 대한항공과의 오랜 협력을 통해 신뢰를 쌓아왔다. 1973년 대한항공이 보잉 747을 도입하면서 장거리 국제선 운영의 기틀이 마련되었고, 올해 대한항공은 103대의 차세대 보잉 항공기를 추가로 구매하기로 결정했다. 이는 대한항공 역사상 최대 주문이자 보잉이 아시아 항공사로부터 받은 최대 규모의 주문이 될 전망이다.
보잉은 대한항공뿐만 아니라 아시아나항공, 에어프레미아, 티웨이항공, 제주항공 등 국내 저비용항공사(LCC)와도 중요한 파트너 관계를 유지하고 있으며, 한국 시장에서 보잉 민항기는 약 63%의 시장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 현재까지 한국에서 사용되고 있는 민항기는 약 270여 대에 이른다.
보잉과 한국의 협력 관계는 단순한 고객 관계를 넘어서 글로벌 공급망 파트너십으로 발전하고 있다. 대한항공은 1975년 항공기 정비 및 제작 사업에 진출하며 보잉의 공급망에 포함되었고,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은 1999년 설립 이후 보잉의 핵심 공급업체로 자리 잡았다. 현재 한국의 보잉 공급업체는 다양한 보잉 상용기 부문 제품군에 부품을 공급하고 있으며, 한국군은 여러 보잉 플랫폼을 운영하고 있다. 과거의 단순 구매 위주 협력에서 현재는 국내 산업과의 공동 생산 및 기술 협력 구조로 발전하게 되었다.
보잉은 한국의 항공우주 제조 역량이 세계적으로 경쟁력이 있다는 점을 강조하며, PwC의 2024년 항공우주 제조 매력도 순위에서 한국이 3위를 기록한 사실을 언급했다. 방산 제조 경쟁력, 빠른 수출 증가, 자주 국방 역량 확대는 한국의 주요 강점으로 꼽히며, 이는 보잉이 한국 시장에 주목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셰이퍼 사장은 한국이 최근 설문조사에서 전 세계에서 가장 혁신적인 국가 4위에 올랐고, 항공우주 산업의 미래를 결정짓는 핵심 산업에서 이미 선도적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한국의 혁신적인 정신과 문화를 최대한 활용하고 싶다는 의지를 밝혔으며, 방산 부문에 대한 한국의 이해도가 높다는 점을 강조했다. 한국은 국내 시장뿐만 아니라 전 세계로 방산 기술을 개발하고 수출하려는 목표를 가지고 있으며, 보잉은 이러한 목표 달성을 위해 한국과의 긴밀한 파트너십을 이어가겠다고 덧붙였다.
또한, 보잉코리아는 한국에 대한 투자를 강화하고 있으며, 지난해 기준으로 약 3억2500만 달러를 투자했다. 2026년에는 777 기종의 생산 증대로 인해 한국 시장에 대한 투자 구매를 통해 최대 50%까지 투자 금액을 증가시킬 계획임을 셰이퍼 사장은 설명했다.
서울 아셈타워에 위치한 보잉코리아 기술연구센터(BKETC)는 한국의 디지털 혁신 생태계를 활용해 보잉 제품 연구개발을 가속화하고 있으며, 현재 100명 이상의 엔지니어가 차세대 기술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다. 올해에는 20%의 인력을 추가로 채용할 예정이다.
셰이퍼 사장은 한국의 우수한 연구개발 인재들과 함께 차세대 항공우주 혁신을 가속화하겠다고 강조하며,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한국 방위산업과의 협력을 통해 공동 성장을 도모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관련기사]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5/0005189412?sid=101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