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노조 총파업의 이면과 주 4.5일제의 미래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금융노조)이 오늘 주 4.5일 근무제를 요구하는 총파업을 단행합니다. 그러나 이번 파업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가 미비하여 예상보다 낮은 참여율이 예상됩니다. 주요 은행들은 고객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비상 근무계획을 가동하고 있으며, 고객 응대에 전력을 다할 것입니다. 26일 현재 금융권에 따르면, 주요 시중·국책은행들은 이번 파업의 파급력이 크지 않을 것이라고 보고 있습니다. 한 은행 관계자는 “영업점 운영 차질이 소비자 피해로 직결되는 만큼, 대다수 직원이 고객 응대를 우선시할 것”이라며 “일부 지점에서 1~2명만 파업에 참여할 것”이라고 전했습니다. 실제로 금융노조가 3년 전 총파업을 실시했을 당시, 전체 은행권의 참여율은 9.4%에 불과했으며, 5대 은행의 참여율은 0.8%에 그쳤습니다. 이번에도 유사한 상황이 벌어질 가능성이 큽니다.

금융노조는 은행권이 2002년에 주 5일제를 최초로 도입한 전례를 강조하며, 이번에도 주 4.5일제를 선제적으로 도입해 정부가 목표로 하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 수준의 근로시간 단축을 선도하겠다는 입장을 내놓고 있습니다. 정부가 노사정협의체를 구성하면서 제도화 논의가 본격화되고 있는 것도 노조의 입지를 강화하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노조는 “사회 전반의 근로시간 단축 흐름을 은행권이 선도해야 한다”는 명분을 내세우고 있습니다.

하지만 사용자 측인 금융산업사용자협의회는 난처한 입장입니다. 보호무역주의의 심화와 글로벌 경기 둔화로 인해 산업 경쟁력이 약화되는 상황에서, 은행권만 임금 삭감 없는 근로시간 단축을 요구하는 것은 비현실적이라는 지적이 많습니다. 인공지능(AI) 혁신이 가속화되며 고용 불안정이 사회 전반으로 확산되는 가운데, 상대적으로 높은 임금과 고용 안전성을 누리고 있는 은행권이 또다시 혜택을 누리는 것 아니냐는 비판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2000년대 초의 주 5일제는 외환위기 충격을 극복하는 과정에서 고용 유연화를 논의하며 추진되었습니다. 사회적 합의에만 4년가량 걸렸고, 경제계 전반의 공감대 속에서 순차적으로 시행되었습니다. 반면 이번 주 4.5일제 논의는 경기 불확실성이 확대되는 상황에서 고용 안정성이 보장된 업종이 독자적으로 요구하고 있다는 점에서 사회적 설득력이 떨어진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습니다.

정부 역시 노동시간 단축이라는 정책 기조와 은행권의 파업 사이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근로시간 단축은 장기적인 목표이지만, 당장의 파업은 금융 소비자에게 불편을 초래하고 정책 추진 동력을 훼손할 수 있습니다. 금융권 관계자는 “노조의 요구가 정책 기조와 맞물려 있어 무시할 수 없지만, 현실화하기에는 사회적 준비가 부족하다”고 전하며, “정부, 은행권, 노조 모두가 해법을 찾지 못한 채 압박을 받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러한 복잡한 상황 속에서 금융권의 미래와 근로시간 단축 논의는 더욱 중요한 이슈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관련기사]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8/0006125756?sid=101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