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업은 언제나 도전적이고, 그 길은 때로 고독하며 험난하다. 초기 창업자들은 자금 조달, 인재 확보, 마케팅 전략 등 여러 가지 선택지에 직면하며 종종 방향을 잃곤 한다. 이러한 불확실한 상황에서 그들의 멘토링은 대개 개인의 경험과 직관에 의존하여 진행되어 왔고, 객관적인 판단 기준을 찾기란 쉬운 일이 아니었다. 하지만 ㈜더필드플레이어가 선보인 ‘파란나비’는 이러한 문제를 정면으로 겨냥하며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고 있다.
‘파란나비’라는 이름 아래 전개되는 PARANAVI® Series는 창업 멘토링의 방식을 근본적으로 바꾸고 있다. 김태은 대표는 5년 동안 700회 이상의 멘토링 경험을 바탕으로 이 시스템을 개발했으며, 이를 통해 반정형(semi-structured) 데이터를 구조화하고 협소 인공지능(ANI) 기술로 분석하여 창업자들에게 맞춤형 의사결정을 지원하고 있다. 지난해 11월, 서울에서 진행된 파란나비 MVP 테스트에서 예비 창업자와 초기 스타트업들은 자신의 업종별 고민을 시스템에 입력하였고, 그 결과 데이터와 구조 분석을 기반으로 한 맞춤형 조언을 받았다. 이들은 “내 상황에 맞는 길이 보인다”는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며 높은 만족도를 나타냈다.
올해 5월에 실시된 사용자 테스트에서는 예상치 못한 수요가 나타났다. 단순히 창업가들만이 아니라 현장 멘토들 역시 데이터 기반의 구조적 보조 도구를 필요로 한다는 사실이 확인된 것이다. 이러한 수요는 일부 멘토들이 직접 더필드플레이어를 찾아오는 형태로 나타났으며, 그 결과 ‘M(Mentor)’ 버전으로의 확장이 이루어졌다. 이는 창업가뿐만 아니라 멘토들까지 아우르는 서비스로, 올가을에는 두 집단 모두를 겨냥한 프로그램이 출시될 예정이다.
또한, ‘L(Lens)’라는 새로운 확장도 주목할 만하다. 더필드플레이어는 리더십 리스크 신호와 조직 운영 패턴을 분석하고 시뮬레이션하는 엔진 ‘FIELDLENS’를 정식으로 네이밍하여, 초기 창업팀의 운영 및 대표자의 리더십 문제를 데이터적으로 진단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 서비스는 실제 조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위험 요소를 분류하여, 사람과 구조를 동시에 살펴보는 데 중점을 두고 설계되었다.
김태은 대표는 창업이 단순히 계획서나 지원금, 수상 경력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님을 강조하며, “현장에서 실제로 작동하는 구조를 보여주는 것이 저희의 역할”이라고 밝혔다. 업계에서는 파란나비 시리즈(M·L)가 은퇴하거나 변화에 적응하기 어려운 1세대 멘토 시대의 한계를 극복하고, 1인 기업을 조직으로 확장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구조화 문제를 진단함으로써 창업 문화 전반을 혁신할 가능성이 크다고 평가하고 있다.
이처럼 더필드플레이어의 파란나비는 단순한 멘토링을 넘어, 창업자와 멘토 모두에게 실질적이고 효과적인 지원을 제공하는 혁신적인 도구로 자리 잡고 있다. 이는 창업 생태계의 변화를 가져올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이며, 앞으로의 행보가 더욱 기대되는 이유이다.
[관련기사]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382/0001227444?sid=101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