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국내 친환경차 시장은 급속히 성장하고 있다. 특히 전기차와 수소차의 보급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정부는 이를 적극 지원하기 위해 다양한 정책을 펼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정책의 실행력은 충전 인프라의 현황에 따라 크게 좌우된다. 현재 고속도로 수소 충전소의 숫자는 51기로, 전체 고속도로 휴게소의 17.5%에 불과하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이는 수소차 이용자들에게 큰 불편을 초래하고 있으며, 전기차와의 충전기 수를 비교할 경우 수소차 충전소의 부족함이 더욱 두드러진다.
전기차 충전소는 올해 8월 기준으로 1590기가 설치되어 있는 반면, 수소차 충전소는 그 수의 3%에도 미치지 못하는 실정이다. 이처럼 충전 인프라의 불균형은 친환경차 보급의 주요 장애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특히, 수소차의 경우 등록 대수가 약 4만 대에 불과한데 반해, 한 기의 충전소에서 수소차 821대를 처리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하고 있다. 이는 충전소 확충이 시급하다는 점을 더욱 부각시킨다.
정부는 전기차 충전소를 지난해 1479기에서 올해 1800기로 확대하기로 했으며, 수소차 충전소는 150㎞ 이내에 한 곳 이상 설치하겠다는 계획을 세웠다. 그러나 이러한 계획의 실행 속도는 더딘 상황이다. 특히, 수소 충전소의 예산이 줄어들면서 인프라 확충이 어렵게 되고 있으며, 올해 예산은 지난해 동결된 45억원에서 31억5000만원으로 30% 삭감되었다. 이러한 예산 삭감은 충전소 구축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관련 인허가 절차의 지연과 주민 반대, 지장물 이전 등의 문제로 인해 설치가 더욱 지연되고 있다.
복기왕 의원은 이러한 상황을 두고 예산 축소와 지연을 합리화할 것이 아니라, 수소차 이용자들의 편의를 높일 수 있는 실질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이는 단순히 친환경차의 보급 확대를 넘어, 지속 가능한 교통체계를 위한 기초가 될 것이다. 전 세계적으로 탄소중립 목표가 설정되고 있는 시대에, 한국도 이에 발맞춰 충전 인프라의 확충을 통해 친환경차의 미래를 밝히는 노력이 필요하다.
결국, 친환경차의 보급 확대는 충전 인프라의 확충 없이 이루어질 수 없다. 정부와 지자체는 더 이상 뒤로 물러설 수 없는 상황을 인식하고, 실질적인 대책을 마련하는 데 힘써야 할 것이다. 친환경차 이용자들이 편리하게 충전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야말로 진정한 친환경 사회로 나아가는 첫 걸음이 될 것이다.
[관련기사]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277/0005662045?sid=103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