센스톤의 유창훈 대표는 회사의 특허 유지 비용이 매달 평균 3천만 원에서 4천만 원에 이른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연간 4억 원이 넘는 금액으로, 국내 보안 소프트웨어 기업 중에서 이 정도의 비용을 지출하는 곳은 거의 없다고 합니다. 2015년 설립된 센스톤은 보안 분야의 강소기업으로, 현재까지 376건의 국내외 기술특허와 지식재산권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특히, 센스톤은 ‘OTAC(One Time Authentication Code)’라는 독창적인 보안 기술을 개발하여 세계 시장에 진출하고 있습니다. 유 대표는 OTAC 기술이 기존의 양방향 다이내믹 토큰 구조를 혁신하여 단방향 구조로 작동한다고 설명하며, 이는 세계 최초의 단방향 다이내믹 토큰 기술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이 기술은 클라이언트 기반의 일회용 식별 인증 방식으로, 기존 인증 기술의 구조적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가능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유 대표는 OTAC 기술에 대한 해외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특히 인도네시아 정부가 먼저 이 기술에 주목했다고 전했습니다. 그는 한국 시장이 여전히 미국의 기술을 기준으로 삼는 경향이 있어, 국내 기관과 기업들이 ‘우리 기술이 세계 최초’라는 확신을 가지기 어려운 구조적 한계가 있다고 아쉬움을 표했습니다. 유 대표는 다양한 경로로 OTAC 기술을 검증받고 있으며, 글로벌 수요에 부합하는 독보적인 해답을 제시하고 있다고 자부하고 있습니다. 센스톤의 비즈니스 모델은 기술 라이센싱으로, AaaS(Algorithm as a Service)라는 이름으로 글로벌 시장에서의 입지를 다지고 있습니다. 유 대표는 OTAC 기술이 OT(운영기술) 시장에서 ‘머스트 해브’ 아이템으로 자리 잡고 있으며, 이를 통해 센스톤이 글로벌 보안 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또한, 그는 센스톤의 기업 문화가 ‘오픈’이라는 원칙 아래 소통과 협업을 강조하고 있으며, 직원들이 다양한 업무에 도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유 대표는 앞으로도 센스톤이 글로벌 보안 시장에서 기술 혁신을 통해 많은 기여를 할 것이라고 확신하고 있습니다.
[참조기사]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92/0002380973?sid=105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