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는 최근 ‘AI 스타트업 LLM 챌린지’와 ‘K intelligence 해커톤 2025’를 성황리에 마치며 한국 AI 생태계의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이 두 가지 행사에서 KT는 중소기업과 스타트업을 대상으로 한 다양한 지원 프로그램을 통해 AI 기술의 혁신을 선도하고 있다. ‘AI 스타트업 LLM 챌린지’는 대기업의 LLM 인프라를 스타트업에게 개방하여 제조, 금융 등 여러 산업에 특화된 AI 솔루션을 개발하는 정부 주도의 프로젝트로, KT는 이를 통해 AI 기술의 상용화 및 스타트업의 성장을 지원하고 있다.
이번 챌린지에는 총 148개의 스타트업이 참여 의사를 밝혔으며, KT는 후속 기술역량 평가를 통해 최종적으로 6개 기업을 선정하였다. 이들 기업은 AI 보안, 소상공인 콘텐츠 생성, 건설 현장 데이터 분석 등 다양한 분야에서 기술력을 갖추고 있다. KT는 이들과 협력하여 공공, 교육, 소상공인 등 핵심 분야에 맞춤형 AI 솔루션을 개발하는 데 주력하고 있으며, 이 과정에서 기술검증(PoC)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스타트업의 실질적인 사업화 지원에도 힘쓰고 있다.
또한 KT는 ‘K intelligence 해커톤 2025’를 통해 AI 모델인 믿:음 K와 SOTA K를 활용하여 AI Agent 개발 경진 대회를 개최하였다. 이 해커톤은 ‘한국적 AI로 상상하고 창조하라’는 주제로, 1500명의 대학생, 일반인 및 개발자들이 참여하여 약 한 달 반 동안 다양한 AI 아이디어를 발표하였다. 대회는 두 가지 트랙으로 진행되었으며, 믿:음 K를 활용한 B2B 및 B2G AI Agent 개발과 SOTA K 기반의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이 주요 내용이었다.
대회에서는 ‘직무 교육 개인화 학습 에이전트’를 개발한 팀과 ‘역사 인물과의 대화’ 서비스를 선보인 개인 참가자가 각각 대상을 수상하였다. 이들은 높은 실용성과 몰입감을 제공하는 아이디어로 주목받았다. KT는 이번 해커톤을 통해 한국형 AI 모델이 실제 산업 현장에서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다수 발굴할 수 있었다.
KT의 배순민 상무는 경진대회를 통한 창의적인 인재 발굴과 스타트업과의 협업이 AI의 건전한 발전을 위해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AI 기술이 단순한 기술적 진보를 넘어 사회적 문제 해결과 산업 혁신에 기여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KT는 앞으로도 개방형 협력과 기술 공유를 통해 한국 AI 생태계의 지속 가능한 성장과 사회적 가치 실현을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러한 KT의 행보는 한국형 AI의 발전과 산업 혁신의 새로운 이정표가 될 것이다.
[관련기사]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119/0003010168?sid=105
답글 남기기